logo
“금값 사상 첫 3,775달러 돌파”…미국 금리 인하·무역 불확실성에 최고치 경신
국제

“금값 사상 첫 3,775달러 돌파”…미국 금리 인하·무역 불확실성에 최고치 경신

조보라 기자
입력

현지시각 22일, 미국(USA)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선물 가격이 사상 처음 온스당 3,775.10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금 현물 가격도 온스당 3,747.08달러까지 오르는 등 전 거래일 대비 2% 안팎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가 금리 인하를 재개하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에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가 한층 강화된 결과다.

 

연준은 지난주 기준금리 인하 재개에 이어 연말까지 두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는 이날 “현행 기준금리가 중립 수준보다 2%포인트 높다”며 통화정책을 더욱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은 연준의 완화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 금값 2% 상승…미국 금리 인하 재개에 사상 최고 경신
국제 금값 2% 상승…미국 금리 인하 재개에 사상 최고 경신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지속하며 글로벌 교역 환경에 불확실성을 키운 것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세계 경제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된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하와 무역 변수까지 겹치며 투자자들은 금 등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옮기고 있다.

 

금속정보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애널리스트는 “지정학 긴장이 해소되지 않아 안전자산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며, 연준의 금리 인하가 금값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도 “미국 통화정책 변화가 금 시장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했다”고 평했다.

 

향후 금값은 연준의 정책 방향, 글로벌 경기 불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복합적인 지정학 이슈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안전자산 선호가 지속되는 한 금값 변동성도 클 것으로 보여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국제사회는 연준의 금리 행보와 금값 추이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제금값#연준#트럼프행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