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폭염 속 건강관리, 암환자에 더 치명적”…당뇨 동반 때 중증 위험↑
IT/바이오

“폭염 속 건강관리, 암환자에 더 치명적”…당뇨 동반 때 중증 위험↑

김소연 기자
입력

연일 이어지는 폭염이 항암 치료와 만성질환을 앓는 암환자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면역력 저하로 감염이나 탈수 등 2차 질환 가능성이 높아져, 집중적인 생활습관 관리가 요구된다. 의료계는 암환자 중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동시에 가진 경우 폭염으로 인한 혈당 변동성과 쇼크 위험이 대폭 증가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업계는 극한 온도환경이 암환자 생존율과 치료 예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단 점에서 기후변화 대응이 암환자 의료정책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여름 폭염은 암환자의 피로 누적과 무기력감 심화, 일상영위 곤란 등 다양한 건강 문제의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심혈관·호흡기 질환 또는 당뇨병 동반시 증상 악화 우려가 커진다. 항암 치료를 받는 암환자는 땀 배출량과 수분 손실이 커지면서 열사병, 탈수, 감염에 보다 취약하다. 당뇨환자의 경우 폭염 시 혈당조절이 어렵고 저혈당 또는 고혈당 쇼크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체온조절 기능이 저하되고, 폭염에 면역력이 추가로 약화될 수 있다는 점도 위험 신호다.

전문가들은 암환자가 폭염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실내 온도 관리와 외부활동 자제, 과도한 일광 노출이나 무리한 운동 회피가 가장 중요하다고 진단한다. 실내에서는 에어컨·선풍기 등으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컨디션을 봐가며 실내산책 등 가벼운 활동으로 활동량을 조절해야 한다. 근감소증 역시 항암환자들에게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는데,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근력운동(벽잡고 팔굽혀펴기, 생수병 운동 등)으로 최소한의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무료 홈트레이닝 영상 활용 등 접근성도 높아졌다.

 

수분 보충은 암환자 관리의 핵심으로 꼽힌다. 물과 이온 음료를 통한 탈수 예방이 필요한 한편, 찬 음식·음료 과잉섭취는 소화불량이나 설사 등 부작용을 부를 수 있어 조절이 필요하다. 위생이 취약한 음식은 감염 우려를 높여 피해야 하며, 균형 있는 채소·과일·단백질 섭취로 영양 불균형도 예방해야 한다.

 

의학계는 암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폭염 스트레스와 심리 불안이 치료 예후에 간접적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현영 교수는 암환자가 폭염에서 느끼는 극심한 피로는 단순 휴식만으로 해소되지 않는 만큼, 기질적·심리적으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필요할 경우 수면유도제, 항우울제 등 맞춤 약물치료 병행도 고려 대상이다.

 

산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후위기 이슈가 만성질환자 관리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실제 시장에서 의료 분석 서비스, 라이프로그 앱, IoT 기반 체온·운동감지 등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수요도 증가 추세다. 전문가들은 향후 맞춤형 건강관리와 생활 패턴 데이터 연계가 암 환자 폭염 대처 능력의 핵심 기준이 될 것으로 내다본다. 산업계는 이번 폭염 이슈가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생태계를 촉진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암환자#폭염#당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