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홈플러스 투기자본 전리품 아니다"…김병기, 채무조정·공적 인수 방안 추진 시사

한지성 기자
입력

홈플러스 사태를 둘러싼 여야 간 경제·노동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기업 회생 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가 공개 매각에 난항을 겪자, 더불어민주당이 투기 자본 책임론을 전면에 내세우며 공적 구조조정 카드까지 거론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기업 회생 절차를 진행 중인 홈플러스와 관련해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한 모든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홈플러스의 공개 매각 시도가 실패한 뒤 여야 정치권이 본격적으로 방향성을 놓고 격돌하는 모양새다.

김 원내대표는 "대주주인 MBK와 홈플러스에만 맡겨선 더 이상 해결이 불가능한 단계"라며 현 경영 구조로는 회생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매장은 텅 비고 협력·납품업체는 연쇄 부도 위기이고, 노동자들은 임금 체불과 해고 불안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고 말하며 현장의 위기 상황을 강조했다.

 

그는 또 "이 모든 것이 대주주 MBK의 약탈적 경영 때문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라고 대주주 책임을 강하게 제기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는 투기 자본의 전리품은 아니다"라며 "MBK의 책임은 엄중하게 묻되, 홈플러스는 반드시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재무·지배구조 책임과 사업 정상화 조치를 분리해 접근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구체적 해법으로는 공적 구조조정 수단이 거론됐다. 김 원내대표는 "당정이 협력해 유암코 등 공적인 구조조정 회사가 불투명한 채무 구조를 조정, 전문 유통경영을 할 회사가 인수에 나서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해 보겠다"고 밝혔다. 민간 사모펀드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연합자산관리(UAMCO)를 통한 채무 조정과 전문 유통기업 인수라는 이원 전략을 검토하겠다는 구상이다.

 

재정·금융당국과 사법당국에 대한 조사 요구도 이어졌다. 허영 더불어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같은 회의에서 "MBK 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2020년 미국에서 약 2천500만 달러에 달하는 최고급 별장을 매입했다는 보도가 나왔다"고 언급했다. 이어 "국세청과 금융당국, 검찰은 즉시 MBK 해외 자산과 홈플러스 사태의 자금 흐름 전반에 대한 전면 조사에 착수해 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향후 당정 협의를 통해 유암코를 포함한 공적 구조조정 수단, 관련 세무·금융 조사를 병행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회는 향후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 심사 과정에서 홈플러스 사태와 투기 자본 규제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에 올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병기#홈플러스#mbk파트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