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025 SGAFF, AI와 인간의 접속”…영화계 거장들, 스크린을 흔들다→감정의 장벽이 무너지다
엔터

“2025 SGAFF, AI와 인간의 접속”…영화계 거장들, 스크린을 흔들다→감정의 장벽이 무너지다

전서연 기자
입력

서울의 수많은 빛과 이야기가 모인 ‘2025 서울 국제 AI 필름 페스타’에서 새로운 감각의 물결이 관객을 휘감았다. 세계 최대 규모로 개최된 AI 영상 콘텐츠 축제에서 76개국, 1,400여 편의 작품이 스크린 속으로 밀려들며, 기술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감정과 서사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했다. 공모전의 숨가쁜 경쟁 끝, 누군가는 AI의 미묘한 얼굴선을 따라 연기의 본질을 다시 묻는가 하면, 또 다른 이는 AI 사운드와 영상으로 음악의 힘을 인간의 심장에 새겨넣었다.

 

심사위원으로는 김준홍, 김태용, 김태호, 김형석, 맥닛, 박천휴, 사론 리, 장호기, 제영재, 하지원까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온 창작자들이 한목소리로 “AI와 인간의 연결은 곧 이야기의 탄생”임을 밝혔다. 고요한 질문과 과감한 실험, 두려움과 기대가 교차한 이 자리에서, 기술은 사람을 닮은 새로운 감정의 언어가 됐다.

AI와 인간이 엮은 스크린의 감동…‘2025 SGAFF’ 대상작 탄생, 미래 창작의 언어→다음 문을 열다 / MBC
AI와 인간이 엮은 스크린의 감동…‘2025 SGAFF’ 대상작 탄생, 미래 창작의 언어→다음 문을 열다 / MBC

최고의 영예를 안은 필름 부문 ‘시구문’에서는 배우의 미묘한 표정, AI가 빚어낸 감정의 깊이까지 섬세히 쓰이며 ‘연기’의 개념을 재정의했다. 영화감독 김태용은 “AI 인물을 연기자로 삼는 도전정신이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고, 박천휴 작가는 “비주얼의 분방한 상상력이 경계를 허물었다”고 덧붙였다.

 

뮤직 부문 ‘나는 폭풍’은 AI가 만들어낸 사운드와 영상이 하나로 어우러져, 관객의 감각을 새로운 차원으로 이끌었다. 김준홍 감독은 일관된 메시지와 독보적 미장센, 음악과 영상의 화학적 융합에 깊은 감동을 표했다.

 

브랜드 부문에서는 ‘신라면 왕국’, ‘기아-감정으로 움직이다’ 등 국내 브랜드들이 AI와 결합해 각자의 서사를 색다른 감정으로 풀어냈다. 현장의 심사위원들은 이처럼 AI가 상업적 언어를 뛰어넘어, 일상을 감정의 여정으로 재해석했다고 평했다.

 

수상작들은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코엑스 메가박스와 그랜드볼룸 홀을 통해 열리며, 영화제 이후 방송과 브랜드 광고 등 실제 창작자의 새로운 무대로 확장된 후속 지원도 이어질 전망이다.

 

AI 주간 2025와 연계된 SGAFF, 컨퍼런스, ICT 박람회까지 맞물려, 올가을 서울은 기술과 문화, 그리고 인간의 감정이 모두 한 무대에서 호흡하게 된다. 한 장의 입장권으로 세 행사를 모두 누릴 수 있게 된 새로운 협력 체계도 완성됐다. 스크린 위에서 AI와 인간이 만난 이 순간, ‘2025 SGAFF’가 남길 감정의 흔적은 한 시대의 창작을 다시 쓰는 의미로 오래 기억될 것이다.

 

수상작 전시 및 상영은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 메가박스와 그랜드볼룸 홀에서 진행된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2025sgaff#김태용#ai필름페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