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지 분실 경위 묻자 ‘기억 안나’”…장경태, 압수수색 수사관에 강도 높은 질타
검찰의 '관봉권 띠지' 유실 사건을 두고 국회가 격돌했다.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1소위가 개최한 '검찰개혁 입법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서울남부지검 수사관들에게 관봉권 띠지 분실 경위와 당시 현금 압수 처리 과정에 관한 직접적인 답변을 요구했다.
이날 청문회는 박건욱 전 서울남부지검 부장검사, 이희동 전 서울남부지검 1차장검사, 그리고 압수계 소속 김정민·남경민 수사관이 증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그러나 증인으로 선정된 인물의 편향성을 문제 삼은 국민의힘은 회의 시작과 동시에 강하게 항의하며 일제히 퇴장했다. 이후 여당 의원들과 증인 사이 쟁점 질의가 이어졌다.

관봉권 띠지와 관련해 김정민 수사관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의원들의 거듭된 압박에도 입장을 반복했다. 그는 "지난해 12월쯤 약 1천건의 압수물이 들어와 단 1건의 압수물을 기억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며, "그때 사건의 경중도 몰랐고 관봉권 자체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원형 보전' 지시수령 여부에 대해선 "원형 보전은 현금을 금고에 보관하는 의미로 사용됐고, 띠지처럼 부수적인 물품은 별도 지시가 필요했다"고 부연했다.
남경민 수사관 역시 현금 보관 지시를 기억하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했다. 그는 "관련 현금을 직접 보지도 않았고, 압수물을 접수한 주 담당자 역시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증인 진술의 신빙성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장경태 의원은 "5천만원짜리 돈다발도 기억 못 하는 그런 정신머리를 가진 수사관이 어떻게 검찰에서 근무하느냐"며, "권력형 비리 수사 과정에서 제대로 된 접수조차 없었다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영교 의원도 "검사가 현금다발을 보관하라고 했으나 책임 추궁도, 원인 조사도 없었고 수사관은 기억 회피로 일관한다"며 "이건 범죄행위"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청문회 중 김용민 소위원장은 박건욱 부장검사와 이희동 차장검사 간 대화에 “말을 맞췄다”고, 또 두 수사관이 사전에 예상 질문·답변을 공유한 점에 대해선 “사전 모의”라고 지적했다.
각 당의 주장이 맞서며 청문회장은 긴장감이 고조됐다. 민주당은 검찰 내 책임 회피를 문제 삼아 후속 질의와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국민의힘은 애초 청문회 증인 선정의 객관성 부족을 문제 삼아 재차 반발할 태세다.
국회는 수사기관 내 기록 미비와 처리 절차 누락 문제를 꼬집으며 다음 회기에서 관련 법·제도 개선 논의에 본격 착수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