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거버넌스+데이터 큐레이션”…파수, 글로벌 AI 어워드 최종 후보
AI 융합 기술이 기업 환경의 업무 혁신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파수는 23일 글로벌 인공지능 어워드 ‘2025 AI 어워드’에서 최고 AI 융합 부문 최종 후보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후보 선정은 파수가 구축해온 AI 거버넌스 체계와 기업용 AI ‘엘름’ 및 문서관리 AI 플랫폼 ‘랩소디’의 데이터 큐레이션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업계는 이번 행보를 ‘업무 특화형 에이전트 AI 실전 경쟁’의 분기점으로 주목하고 있다.
파수가 오른 최고 AI 융합 부문은 글로벌 심사 기준에 따라 기존 IT 시스템과 AI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통합했는지가 핵심 평가 요소다. 파수 외에도 일루미나, 이반티, 공, 워크미 등 세계적 기업이 경합을 벌이고 있다. 파수는 단순 AI 도입을 넘어서, 기업 내 실제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큐레이션 및 맞춤형 거버넌스 체계를 성공적으로 구현한 것이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엘름과 랩소디의 결합은 사용자가 AI를 즉각적으로 업무에 적용하면서 생기는 데이터 보안, 정보 분류, 업무 자동화 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기존 AI 시스템이 일부 파일럿 프로젝트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과 달리, 파수는 현업에 곧바로 적용 가능한 에이전트형 AI 모델을 제안해 업무 혁신의 실효성을 높였다. 실제로 데이터 분석 및 문서 관리 영역에서 업무별 특성에 맞춘 AI 사용 사례가 증가하면서 시장 내 파수의 입지가 강화되는 양상이다.
현재 글로벌 빅테크들도 산업별 AI 융합 시장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 유럽에서는 AI 환경의 거버넌스와 데이터 신뢰성, 커스텀 오토메이션 기술 등이 차별화 요소로 주목된다. 파수가 이번 후보군에 포함되면서 국내 AI 기술력의 글로벌화 가능성 역시 높아졌다는 평가다.
AI 융합 환경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 관리·AI 거버넌스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관련 정책과 인증 기준은 여전히 기업별로 표준화되지 않은 상태다. 업계에서는 실질적인 업무 투입을 위해 맞춤형 분석과 설계 역량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많다.
손종곤 파수 상무는 “사내 AI 경험과 기술 리소스 부족으로 조직이 실제 업무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분석적 접근과 맞춤형 설계가 융합형 에이전트 AI 구현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설명했다.
산업계는 파수의 이번 성과가 기업 AI 실전 도입 확산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AI 기술력이 시장 변화를 이끄는 테스트베드가 될지, 궁극적으로 산업 구조 혁신으로 이어질지 귀추가 모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