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정보 유출 책임 공방”…롯데카드 조좌진, 국회 간담회서 추가 피해 방지책 밝히다
고객 정보 유출 사태로 인해 정치권과 금융권이 정면 충돌했다. 롯데카드 조좌진 대표이사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정보 유출 대응 현황을 보고하며, 대주주 MBK파트너스 경영책임과 금융보안원, 정부 관리체계에 대한 책임론이 쏟아졌다. 국민의힘은 이번 사태를 두고 국정감사 증인 채택 방침까지 밝히며 관련 논란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주최한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보호 방안 및 재발 방지 대책 간담회’에서 “민감정보가 유출된 고객 28만 명 가운데 66%인 18만 4천 명이 카드 재발급 또는 비밀번호 변경을 마쳐 리스크를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 중반까지 부정거래 예방 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라며 사태 수습에 속도를 내고 있음을 강조했다.

조 대표는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유효기간, CVC 등 민감정보가 유출된 상황과 관련해 “실물카드 생산은 불가하고, 온라인 결제는 본인인증 절차를 추가로 거치기 때문에 ATM 등 부정거래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해외 일부에서 실행되는 키인결제의 경우 부정 사용 가능성이 있어 카드 재발급을 문자 등으로 권유 중이며, 해킹 2차 피해는 전액 보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회 간담회에서는 롯데카드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경영 책임과 투자 부족 논란도 이어졌다. 윤종하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정보보안 분야에 충분히 투자했다고 자부했으나, 사고가 발생한 만큼 부족했다고 판단한다. 경영진과 피해자 보호 방안 논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MBK가 대주주인 홈플러스 사태에 이어 또 사고가 났다. ‘또BK’라는 말이 나온다”며 비판했고, 이어 “국정감사에서 김병주 MBK 회장을 증인으로 세우겠다”고 밝혔다. 김상훈 의원은 “국내 8개 카드사 중 롯데카드가 정보보호 예산을 가장 많이 줄였다. 매각 여파로 투자 필요성을 느끼지 않은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금융보안원과 정부의 대응에도 비판이 집중됐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금융보안원이 최고 등급으로 인증한 직후 해킹이 발생했다”며 “대국민 사과가 선행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윤한홍 의원은 “정부의 해킹 사고 관리에도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권은 관련 기업 책임과 감독 기구 관리 체계 점검을 동시에 요구하며, 이번 카드를 계기로 금융권 전반의 보안체계 강화 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회는 국정감사 증인 출석을 포함한 후속조치에 나설 방침이며, 금융보안 체계 및 재발방지 대책 논의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