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네이버 AI 업무협약의 서막”…미디어 혁신이 피어오른다→공공성 확장에 불씨
사람과 기술이 서로의 경계를 넘어 만나는 순간, 미디어의 풍경이 새롭게 쓰였다. KBS와 네이버가 손을 맞잡은 오늘의 장면은 단순한 협약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를 여는 서곡이었다. 익숙한 콘텐츠의 힘과 눈앞의 기술이 어우러지며 AI가 공공성과 혁신, 그리고 신뢰라는 이름으로 미디어 생태계의 중심에 선 모습이었다.
이번 업무협약에서 KBS와 네이버는 AI 기술의 첨단을 매개로, 영상 콘텐츠 제작·유통뿐 아니라 국민 안전과 복지 분야까지 혁신의 무대를 넓히기로 의지를 모았다. 시청각장애인들을 위한 AI 자막 자동 생성과 화면 해설 자동화 같은 보편적 서비스 확장 방안 또한 계획의 핵심으로 다가왔다. 박장범 KBS 사장은 공영방송과 글로벌 테크의 도전이 대한민국형 AI 미디어 생태계 첫 걸음임을 강조했고, 최수연 네이버 대표 역시 기술 주권과 미래 상생의 의미를 더했다.

실무 단계에서는 AI를 활용한 KBS 영상 아카이브의 재현과,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인간극장’ 같은 전통 콘텐츠의 생성형 AI 기반 재해석이 이어진다. 네이버의 ‘MAIU’ 영상 분석과 ‘하이퍼클로바X’의 생성형 AI 기술이 첨단 콘텐츠 혁신의 동력이 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글로벌 K-POP 다국어 번역, 안무 해설 등 케이컬처 확장, 스포츠 승부 예측, 보도 자동 팩트체크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와 공영방송의 조화 가능성이 본격 시험대에 오른다.
방송의 미래 윤리와 과정의 투명성도 놓치지 않는다. KBS가 신설한 AI방송혁신자문위원회를 필두로, 제작 현장의 조언과 정책·법률·윤리 자문체계까지 다층적으로 보강했다. 기술 진보의 흐름 속에서 국가, 산업, 그리고 보편적 일상이 AI와 함께 진화한다는 기대감이 번진다.
KBS와 네이버가 나란히 걸어가는 여정은 다음 미디어 혁신의 서막으로 기억될 것이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평을 넓히며, 방송의 내일을 촘촘하게 채워넣을 이들의 협력이 가져올 미디어 생태계의 미래는 모두가 주목하게 됐다. 양사의 AI 상생 협력 실무회의에서 현실적인 모델과 다양한 협력 방향이 구체화될 예정이며, 전국민이 체감할 새로운 서비스와 가치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