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한마디에 정책 바꾸나”…국민의힘, 한미연합훈련 조정론에 강력 반발
한미연합훈련 조정 여부를 두고 정치권의 격돌이 거세지고 있다. 국민의힘이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훈련 조정 건의’ 가능성에 강력 반발하며 안보 기조를 두고 여야 간 갈등이 다시 전면화되고 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가 촉발한 한미연합훈련 논란은 최근 통일·대북 정책 기조를 둘러싼 핵심 쟁점으로 급부상했다.
29일, 국민의힘은 곽규택 수석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냉혹한 안보 현실을 직시하기 바란다”고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발언을 겨냥했다. 곽 대변인은 “아무리 대북정책의 목표가 한반도 긴장 완화와 남북관계 복원이라 해도, 변화의 조짐이 있어야 조정이 유효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 장관의 안이한 인식은 시도 때도 없이 군사 위협을 일삼는 북한의 도발을 경시하게 할 위험한 발상”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한미연합훈련의 원칙 고수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나왔다. 김정재 정책위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굴종적 태도의 결과는 더 많은 요구와 도발뿐”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굴종이 아닌 원칙, 환상이 아닌 현실을 자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당내 외교안보통일 라인 소속인 유용원 의원 역시 “김여정의 담화 한 마디에 훈련을 줄이고 정책을 바꾸는 나라를 과연 누가 믿고 지킬 수 있겠는가”라고 비판했다. 유 의원은 “훈련을 접으면 상대는 대화가 아니라 도발로 대응할 것”이라며 정부의 신중한 대응을 요구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앞서 2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한미연합훈련을 비판한 직후 ‘훈련 조정 건의를 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럴 생각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한미연합훈련의 일정을 조정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 이 발언은, 국내 안보 정책의 기조 변화 가능성과 맞물려 논란을 증폭시켰다.
정치권은 북한의 담화와 통일부의 메시지가 한미동맹 및 대북 정책 전반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야권 보수 진영은 ‘굴종적 자세’라며 강경 대응을 촉구하고 있고, 정부는 한반도 긴장 완화와 남북 대화의 필요성 사이에서 신중한 검토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날 국회는 한미연합훈련 조정 논란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당분간 안보·통일 어젠다를 둘러싼 정면 충돌 구도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