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관세 인상해야 한다” 미국민 10% 그쳐…“내려야” 33%
한국에 대한 관세 정책을 두고 미국 내 여론이 교차하고 있다. 주요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가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를 “올려야 한다”고 답한 미국인은 10%에 그친 반면, "내려야 한다"와 "현 수준 유지" 의견이 각각 33%로 나타났다.
한미경제연구소는 유고브에 의뢰해 2025년 9월 미국인 1천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표본오차 ±3.34%P)를 진행했다. 전체 외국에 대한 관세 인상 지지는 15%였으나, 한국에 대해서는 10%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중국(26%), 멕시코(18%), 캐나다(15%), 유럽연합(14%), 일본(12%) 등 다른 주요 교역국에 비해도 한국은 인상 여론이 약한 편이라는 분석이 뒤따랐다.

관세를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은 현 수준 유지와 함께 33%로 조사돼, 미국 내 한국에 우호적인 무역환경 선호가 드러났다. 이에 따라 향후 한미 통상 정책 논의에서 관련 여론도 변수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대외 교역량과 관련해선 한국과의 교역을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26%로, 캐나다(38%), 일본(33%), 유럽연합(31%), 멕시코(28%) 등과 비교해 중상위권을 기록했다. 반면 줄여야 한다는 의견은 9%에 머물렀다. 중국과 비교하면 한국과의 교역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평가도 있다.
특히 한국 문화가 미국 내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자가 많았다. “정말 그렇다” 20%, “약간 그렇다” 40%로 전체의 60%가 긍정 평가했다. 한류 확산의 대표 사례로는 한식(42%)이 가장 많이 꼽혔고, 영화, 화장품, 예술작품(각 15%), K-팝, TV쇼(각 12%)도 높은 언급률을 기록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추가 선호도 조사에서는 일본(52%), 독일(41%), 인도(20%)에 이어 한국(17%)이 뒤를 이었다. 향후 10년간 미국 안보에 대한 치명적 위협 국가로는 러시아(54%), 중국(48%), 북한(37%), 이란(34%)이 거론됐다.
북한 문제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대응을 “잘 다루고 있다”고 평가한 미국인은 28%로, 2020년 트럼프 행정부 말기 31%와 비교해 소폭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미 행정부의 통상·안보 정책뿐 아니라 한미 간 정치·문화 협력에도 시사점을 던진다. 미국 내 한류 호감과 교역 확대 지지의 흐름 속에서, 정부는 한미 무역협정 및 문화공공외교 등 다각적 접점을 모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