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복구 속도전”…국가정보자원관리원, 장애 시스템 정상화 추진 가속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의 여파로 정부 전산망 709개 시스템 중 242개의 복구가 이뤄지면서 전체 복구율이 34.1%에 도달했다.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감사원 감사자료분석시스템, 교육부 도메인네임시스템(DNS), 국가데이터처 차세대 센서스와 보건분류시스템이 추가로 정상화됐다. 정부가 집계한 등급별 복구율은 1등급 75.0%, 2등급 47.1%, 3등급 39.8%, 4등급 22.4%로, 핵심 시스템일수록 복구 속도가 빨랐다.
이번 화재 이후 정부는 당초 장애 시스템 수를 647개로 발표했으나, 인프라 관리시스템인 '엔탑스'(nTOPS)가 정상 가동되며 709개로 정정했다. nTOPS는 장애 시스템 식별과 상태 관리의 기준점 역할을 한다. 특히 정부는 신규 전산 장비를 도입하고 일부 시스템을 대전센터에 남기는 등 당초 대구센터로의 일괄 이전에서 이원 분산 복구 전략으로 선회했다. 추가적인 복구가 이뤄지는 15일 이후, 복구 가속이 가능하리란 해석도 나온다.

전산망 정상화는 각 정부 부처의 데이터 운용과 대민 서비스 복원에 직결되는 핵심 사안이다. 복구가 지연될 경우 국가 행정 전반과 데이터 신뢰성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정보나 행정 정보의 보호를 위해, 관련 법과 규제 준수가 엄격히 요구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글로벌 기준으로도 분산 복구와 백업 전략 강화는 대형 IT 인프라 장애 이후 권고되는 방식이다. 미국·유럽 등 공공기관 역시 유사한 화재나 해킹 사고 이후, 재해 복구 절차와 인터넷 망 안전성 점검 체계를 강화해온 것이 특징이다. 전문가들은 복구 장비 도입 시점, 이원화 전략의 실행력, 그리고 복구 완료 후 보안 체계 보강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평가한다.
산업계는 이번 장애 경험이 중대형 IT 인프라의 재해 대응 전략 개선과, 국가 디지털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