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의대교육 정상화 시동”…의대교수, 학생 전원 복귀 촉구
IT/바이오

“의대교육 정상화 시동”…의대교수, 학생 전원 복귀 촉구

박진우 기자
입력

의과대학 교육 현장의 정상화가 의료산업 생태계의 근간을 재건할 분수령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국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10일 성명을 통해 “의료의 미래를 책임질 학생들이 빠른 시일 내 강의실로 복귀하기를 바란다”며 의대생 전원의 복귀를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인적 인프라 단절이 이어질 경우 임상·연구·산업계 전반에 심각한 인력 공백이 현실화될 우려가 크다는 분석이 배경이다. 업계는 교수들의 이 같은 메시지를 ‘의학교육 패러다임 회복’의 첫 단추로 평가하고 있다.    

 

교수비상대책위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기자회견에서 “2학기 내 의대생 복귀를 정부가 적극적으로 유도하겠다”고 언급한 데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대화와 협력을 통해 의정 갈등도 치유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의학교육 현장에서의 공백은 전문 인력 수급 뿐 아니라 첨단 의료기술, 바이오헬스 산업의 R&D 연속성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교수사회는 “교육자로서 책임과 사명을 잊지 않겠다. 학생 복귀 시, 최대한의 지원과 교육에 전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의료계 구조개혁, 디지털헬스케어 신기술 도입 등 격변기의 핵심 주체가 될 신규 인재 육성의 시급함을 시사한다.    

 

해외에서는 이미 의료교육 플랫폼 디지털화, 임상 실습 혁신 등 변혁이 가속화된 가운데, 국내 의료계도 정책·시장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의대 교육 정상화가 의료 혁신과 일자리 창출의 선결 조건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한다.    

 

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는 “이제는 대립이 아닌 회복과 희망의 길을 선택할 때”라며, 정부와의 지속적 소통 및 의료현장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을 거듭 주문했다. 산업계는 이번 교수사회의 메시지가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과 인력 생태계 복원에 어떤 계기가 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의대생#의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