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육 정상화 시동”…의대교수, 학생 전원 복귀 촉구
의과대학 교육 현장의 정상화가 의료산업 생태계의 근간을 재건할 분수령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국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10일 성명을 통해 “의료의 미래를 책임질 학생들이 빠른 시일 내 강의실로 복귀하기를 바란다”며 의대생 전원의 복귀를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인적 인프라 단절이 이어질 경우 임상·연구·산업계 전반에 심각한 인력 공백이 현실화될 우려가 크다는 분석이 배경이다. 업계는 교수들의 이 같은 메시지를 ‘의학교육 패러다임 회복’의 첫 단추로 평가하고 있다.
교수비상대책위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기자회견에서 “2학기 내 의대생 복귀를 정부가 적극적으로 유도하겠다”고 언급한 데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대화와 협력을 통해 의정 갈등도 치유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의학교육 현장에서의 공백은 전문 인력 수급 뿐 아니라 첨단 의료기술, 바이오헬스 산업의 R&D 연속성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교수사회는 “교육자로서 책임과 사명을 잊지 않겠다. 학생 복귀 시, 최대한의 지원과 교육에 전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의료계 구조개혁, 디지털헬스케어 신기술 도입 등 격변기의 핵심 주체가 될 신규 인재 육성의 시급함을 시사한다.
해외에서는 이미 의료교육 플랫폼 디지털화, 임상 실습 혁신 등 변혁이 가속화된 가운데, 국내 의료계도 정책·시장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의대 교육 정상화가 의료 혁신과 일자리 창출의 선결 조건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한다.
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는 “이제는 대립이 아닌 회복과 희망의 길을 선택할 때”라며, 정부와의 지속적 소통 및 의료현장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을 거듭 주문했다. 산업계는 이번 교수사회의 메시지가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과 인력 생태계 복원에 어떤 계기가 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