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사퇴에 당내 반성 목소리 고조"…더불어민주당, 방어 기조 전환 시점 놓쳤나
보좌관 갑질 논란 등으로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도 일방적 방어 기조가 조기 수습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가 번지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물론 시민사회와 당내 인사들까지 지도부의 정무적 판단을 평가하며 논란을 이어갔다.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24일 라디오에서 “여가부 장관에 강 의원이 가장 적합하단 데 큰 이견이 없었고, 지지하는 입장이었다”며 “여론이 나빠진 상황에서 당사자가 마지막 선택지로 고민하다 사퇴를 택한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동료 의원이자 같이 일했던 사이로서 안타깝다”면서 “본인이 고심 끝에 당과 대통령에게 부담을 주지 않아야겠다고 생각한 듯하다. 부정적 여론을 다 감안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아프게 받아들인다”고 전했다.

국회 보좌관 출신 장철민 의원 역시 라디오에서 “동료 의원이자 당의 동지로 마음이 무겁다”며 “국정 동력 차원에서 보면 강 의원 판단이 잘 됐다고 보는 분들이 훨씬 많다”는 평가를 내놨다. 민주당은 그간 강 의원의 적격성을 고수하며 논란에 정면 대응했으나, 이 과정에서 “국회의원과 보좌관 간 갑질은 일반 직장과 다르다”는 문진석 원내 운영수석부대표의 발언이 추가 논란으로 불거지기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만 철회했다. 이어 22일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를 재송부 요청하면서 임명 수순 논란이 가열됐다. 그러나 민주당의 전폭적 지원에도 국민의힘 및 진보 정당, 그리고 친여권 시민단체가 연이어 도덕성·역량 문제를 거론하며 임명 불가론을 제기했다.
지도부 인식 전환은 늦었다는 비판도 잇따랐다. 실제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는 강 의원 임명에 반대하는 우세한 여론조사가 공유됐고, 의원총회에서도 여러 의원이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문금주 원내대변인은 이날 의총 직후 “입장 변화 없다”며 단호한 태도를 유지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상황 경과에 대해 “여론이 가라앉을 틈 없이 나빠지고, 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 기한이 다가오면서 조속한 수습이 필요했다. 당이나 대통령실이 먼저 사퇴나 철회를 요청한 것은 아니고, 후보자가 결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박지원 의원은 지도부의 결정을 두고 “지도자는 잔인한 결정을 빠르게 해야 하는데 만시지탄이다. 임명키로 했으면 밀고 가야 더 나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결정해 놓고 흔들리면 더 나빠진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재선 의원도 “애초에 두 후보자 모두 동시에 정리하는 신속함이 필요했다. 매끄럽지 못한 과정과 지도부 판단에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는 강선우 전 장관 후보자 논란을 비롯해 당 지도부의 정치적 대응에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민주당의 방어기조와 사퇴 결정이 정국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