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 1·2인자까지 압수수색”…특검, 알선수재 피의자로 한학자 총재 적시
통일교 압수수색을 둘러싸고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교단 지도부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김건희 여사에 대한 고가 목걸이·가방 청탁 의혹 수사의 핵심 인물들이 한꺼번에 피의자로 적시되면서, 정치권은 물론 종교계까지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중기 특검팀이 이날 집행한 압수수색 영장에는 한학자 통일교 총재와 이모 천무원 중앙행정실장이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 피의자로 구체 명시됐다. 이씨는 통일교 내에서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2인자’로, 두 사람 모두 교단의 실질적 지도층이다.

특검팀은 이날 가평 통일교 본부, 서울 용산구 통일교 한국협회본부 등 전국 10여 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긴급 투입해 각종 문서와 PC 파일 등 핵심 자료를 확보 중이다. 특히 또 다른 피의자인 윤모 전 세계본부장의 자택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는데, 윤 전 본부장은 청탁과 고가 물품 전달을 직접 실행한 인물로 지목됐다.
수사의 발단은 2022년 4월부터 8월 사이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김건희 여사에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샤넬 백 등 고가 명품을 전달했고, 이를 통해 교단 현안을 청탁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당시 물품 전달의 실무를 맡았던 윤 전 본부장은 “모두 잃어버렸다”는 취지로 주장했으며, 검찰은 전씨와 윤씨, 김 여사 자택까지 차례대로 압수수색했지만 실물 확보에 실패했다.
청탁 대상에는 통일교의 캄보디아 메콩강 개발사업 지원, YTN 인수, 유엔 제5사무국 한국 유치, 대통령 취임식 초청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본부장은 검찰 조사에서 “한학자 총재의 결재를 받고 했다”고 진술했으나, 통일교 측은 “개인 일탈일 뿐 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윤씨는 이미 사건 이후 교단에서 축출됐다.
이번 압수수색으로 통일교 지도부가 실제로 청탁 과정에 관여했는지 여부가 새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정치권에서는 김건희 여사와 최고위급 종교 지도자들을 동시에 겨냥한 대대적 수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검팀은 확보한 자료 분석 등 후속 조사를 통해 한학자 총재와 이모 실장 등 교단수뇌부의 개입 여부를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정치권은 앞으로 수사 결과가 여당·야당 간 첨예한 공방과 정국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특검팀은 윤 전 본부장 등 추가 소환조사도 검토 중이며, 교단 지도부의 연루 정황이 추가로 드러날 경우 관련자들의 형사 책임 문제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