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2만6천달러 돌파”…실물 금과 ‘가치 저장’ 경쟁 격화
현지시각 2025년 10월 6일, 미국(USA) 시장에서 비트코인(Bitcoin)이 장중 12만6천달러를 돌파해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틀 뒤 금(Gold) 역시 온스당 4,070달러로 신고가를 경신하면서 디지털 자산과 전통 실물 자산 간 ‘가치 저장’ 경쟁이 전 세계 시장의 핵심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현상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통화 완화 기조 속 투자자들의 자산 다변화 전략이 본격화된 흐름에서 나타났다.
비트코인은 올해 들어 32%의 가격 상승률을 보였으며, 53억달러 규모의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유입으로 기관투자가와 제도권 진입세가 크게 확대됐다. 아이셰어스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가 전체 ETF 중 최대 순유입을 기록하며 시장 내 비트코인 영향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도권 ETF 등장과 함께 비트코인의 ‘디지털 금’ 프레임이 강화됐다고 분석한다. 반면 금은 올해 52% 올랐고, 금리 인하 기대감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글로벌 중앙은행의 대규모 매입 수요에 힘입어 전통적 ‘인플레이션 헷지’ 역할을 재확인했다. 특히 중국(China)과 브릭스(BRICS) 등 신흥국이 연간 1천 톤 규모로 금을 사들이며 매수세를 주도, 기존 시장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비트코인은 희소성 기반 자산구조와 ETF를 통한 자금 유입이 시장 재평가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다. 반면 금은 세계 금 시장 시가총액이 27조달러로, 비트코인(2.6조달러)의 10배를 상회하는 기초 체력이 견고하다. 지난 3개월간 금의 시가총액이 4.2조달러 이상 늘어나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 규모에 버금가는 성과를 보였다.
이 같은 양강 구도에는 세대와 투자성향의 차이도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다. 부동산 투자자 그랜트 카돈(Grant Cardone)은 “비트코인 투자자가 금 랠리에 올라타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며 “장기적으로 밀레니얼과 Z세대가 ‘디지털 금’의 가치를 더 신뢰하게 될 것”이라 내다봤다. 디크립트(Decrypt),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두 자산 모두 환율 불안과 화폐가치 하락기를 헤지할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전통 금융기관들은 금의 ‘최종 위험회피’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변동성이 큰 비트코인에 대한 신중론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의 ETF 유입과 시가총액 대비 가격 탄력성, 금의 중앙은행 매수세 등 양자 간 변동성-수익률 구도가 투자 선택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내다본다. 10월 들어 비트코인 현물 ETF 하루 순유입액은 12억달러를 넘기면서, 트럼프 당선일 이후 최대치로 치솟았다. 금 시장도 안정적 상승세를 유지해, 변동성 대비 확실한 실물 자산의 비교 우위가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다.
결국 이번 사상 최고가 경신은 글로벌 통화 완화 흐름 속 ‘디지털 대 실물자산’ 양강 구조의 본격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다만 전문가들은 가상자산 시장의 내재가치 불확실성과 급등락 위험성을 경고하며, 과열 양상에 대한 투자자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 환경과 시장 심리에 따라 두 거대 자산군의 주도권 경쟁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