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XRP, ETF·결제 인프라 확장 앞세워 글로벌 도약”…리플(Ripple), 장기 성장 기대감 고조
국제

“XRP, ETF·결제 인프라 확장 앞세워 글로벌 도약”…리플(Ripple), 장기 성장 기대감 고조

오승현 기자
입력

현지시각 16일, 리플(Ripple)이 자사 암호화폐 XRP의 현물 ETF 출시 계획, 결제 인프라 기업 Rail 인수, 미국 내 은행 인가 신청 등 굵직한 확장 전략을 잇따라 공개했다. 이번 조치는 기존 금융 시장과 블록체인 업계 모두에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키며, 글로벌 결제 시장 구조 변화에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리플의 경쟁력 강화 행보는 최근 몇 주간 XRP 가격이 36% 급등하며 S&P 500을 크게 앞서는 흐름 속에 등장했다. 미국 가상자산 운용사 Rex-Osprey가 준비하는 첫 현물 XRP ETF는 당초 2025년 9월 12일 예정에서 9월 18일로 일정이 조정됐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75일 심사를 통과해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거래소가 아닌 기존 증권계좌를 통해 XRP 현물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ETF는 XRP 접근성을 대폭 확대해 장기 수요와 가격에 상승 압박을 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리플 XRP, ETF 출시·Rail 인수로 장기 성장 기대
리플 XRP, ETF 출시·Rail 인수로 장기 성장 기대

리플은 같은 해 8월,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플랫폼 Rail을 약 2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Rail의 가상계좌·백오피스 기술을 결제 시스템에 통합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스테이블코인은 물론 XRP 등 다양한 자산 결제 지원이 가능해진다. 모니카 롱 리플 사장은 “스테이블코인은 현대 금융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인수가 리플의 글로벌 결제 시장 입지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자신했다.

 

은행 인가 확보도 리플의 주요 전략 중 하나다. 리플은 2025년 7월, 미국 통화감독청(OCC)에 은행 인가 신청을 공식 접수했다. 은행 인가를 받게 되면 자산 보관 및 고객 자산 운용, 직접 결제 인프라 운영 등 기존 은행의 핵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간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결제 처리를 단순화함으로써 금융권 의존도를 낮추고 비용, 속도 경쟁력을 높인다는 복안이다.

 

이처럼 연쇄적 확장 전략이 공개되며 XRP의 향후 글로벌 결제 시장 내 점유율 변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CEO는 “2030년까지 XRP가 SWIFT 전체 결제량의 14%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만약 현실화될 경우 연간 21조 달러에 이르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는 XRP의 추가 수요 및 가격 견인 요인으로 해석된다.

 

시장 내에서는 기술적 강세 흐름도 포착되고 있다. 최근 주간 차트에선 ‘강세 깃발(Bull Flag)’ 패턴이 관측되고, 52주 신고가 3.64달러 돌파시 신규 랠리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다만 MACD 등 일부 보조지표에서는 단기 모멘텀 약화 및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다.

 

한편, XRP의 위험 요인도 여전하다. 비트코인(BTC)과의 높은 상관관계로 인한 급락 가능성, 경쟁사 스텔라(XLM)·써클(Circle) 등 저렴하고 빠른 결제 서비스가 시장에 진출할 경우 점유율 하락 위험 등이 상존한다.

 

블룸버그와 씨킹알파 등 주요 외신은 “리플의 전략적 행보가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인프라의 결합을 가속한다”며, 각국 규제 대응과 경쟁사의 반격 동향도 주요 변수로 꼽았다.

 

전문가들은 “ETF와 은행 인가, Rail 인수 등 일련의 조치가 리플의 글로벌 결제 인프라 ‘중심축’ 도약을 뒷받침할 것”이라며, 단기 변동성 및 대체 플랫폼과의 경쟁에도 면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제사회는 앞으로 XRP와 리플이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어떤 역할 변화와 영향력을 발휘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리플xrp#etfrail#브래드갈링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