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서 비공개 논란 재점화”…경찰, 양평군청 사무관 유서 원본 유족에 열람·사본 제공
유서 비공개 논란에 경찰과 유족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특별검사팀에서 조사받은 뒤 숨진 양평군청 공무원의 유서 열람 및 사본 제공 문제가 정치 쟁점으로 확산되고 있다. 경찰이 "사망 당일 유서를 유족에게 보여줬다"고 밝히면서도 논란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모양새다.
13일 경찰과 국회, 유족 측에 따르면, 지난 10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양평군청 50대 사무관 A씨의 유서 원본을 이날 시신 부검 및 필적 감정 직전에 유족이 직접 열람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분량이 많고 유족이 좀 더 확인을 원했다"는 이유로 사본도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A씨가 남긴 유서는 노트 20여장에 일기 형식으로 작성됐다. 내용에는 특검에서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 조사를 받았다는 점, 그리고 "괴롭다" 등 심경을 담은 부분이 공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의 불씨는 경찰이 A씨의 유서를 유족에게도 비공개했다는 일각의 주장이 제기되면서 촉발됐다. 하지만 경찰은 "수사 초기 필적 감정을 위해 유족에게 유서를 이미 보여줬고, 추가로 유족이 사본을 요청해 제공했다"며 사실 관계를 재차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유족이 유서를 보지 못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유서의 분량 등을 고려해 절차에 맞게 조치했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양평군청 소속인 사망 공무원이 남긴 별도의 메모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에 의해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공개됐다. 해당 메모에는 특검의 강압 수사와 관련한 고인의 호소, 그리고 김선교 의원의 지시에 따랐다는 취지의 진술 회유 정황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현장에서 나온 장문의 유서와는 별개의 문서로 구분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정치권에서는 수사 과정의 적정성과 경찰 대응을 두고 여야 공방이 거세다. 여당 측은 "특검의 무리한 수사가 비극을 초래했다"며 강하게 비판했고, 야당은 경찰과 정부의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구하고 있다.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유족의 알권리와 수사 절차 사이 균형을 주문하는 의견도 나온다.
한편, 특검팀은 김건희 여사 모친인 최은순씨의 가족 회사 ESI&D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양평 공흥지구에 아파트 개발사업을 하며 개발부담금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A씨는 2016년 양평군청에서 개발부담금 관련 업무를 맡았던 경력이 있다. 이 같은 의혹은 정가와 지역사회를 강타하며 향후 대선 국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1차 부검 결과 타살 등 범죄 혐의점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13일 경찰에 구두 소견으로 전달된 상태다. 그러나 향후 유서 분석, 메모의 진정성 평가 등 남은 절차에 따라 관련 정치적 파장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회는 경찰의 유서 열람 및 제공 과정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정부와 정치권은 향후 관련 의혹에 대한 추가 조사와 제도 개선 논의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