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인프라에 140조 투자”…엔비디아-오픈AI, 데이터센터 동맹 글로벌 파장
국제

“AI 인프라에 140조 투자”…엔비디아-오픈AI, 데이터센터 동맹 글로벌 파장

신유리 기자
입력

현지시각 22일 미국(USA)에서 인공지능(AI) 기업 엔비디아(Nvidia)와 오픈AI(OpenAI)가 1천억 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데이터센터 구축에 관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합의는 글로벌 AI 산업이 본격적인 인프라 경쟁 국면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관련 국가와 기업은 물론 국제 기술질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엔비디아와 오픈AI 양사는 2026년 하반기까지 총 10기가와트(GW) 규모의 AI 특화 데이터센터를 공동 가동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투자금은 단계적으로 집행되며, 첫 번째로 100억 달러를 투입해 1기가와트 컴퓨팅 파워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반도체 ‘베라 루빈’이 적용될 계획이어서, AI 컴퓨팅 성능과 산업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와 같은 대규모 협력의 배경에는 글로벌 AI 주도권을 놓고 벌어지는 기업 간 치열한 경쟁 구도가 존재한다. 오픈AI는 이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오라클(Oracle), 소프트뱅크(SoftBank) 등과 ‘스타게이트’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병행 중이며, GPU 독립을 위해 브로드컴(Broadcom)과 자체 칩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반면 엔비디아로서는 오픈AI라는 대형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가 AI 반도체 시장 내 입지 방어에 필수적 과제로 부상했다.

 

각국과 시장의 반응도 즉각적이다. CNBC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10기가와트 구축은 연간 400만∼500만 GPU 출하 규모에 맞먹는 기념비적 프로젝트”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해당 데이터센터가 미국 내 약 800만 가구가 활용하는 전력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오픈AI 샘 올트먼 CEO 역시 “AI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기반”이라며 “엔비디아와 새로운 AI 혁신을 대규모로 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증시에서도 이번 협력은 강한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발표 당일 3% 이상 급등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AI 인프라 주도권 경쟁이 전 산업과 시장구조 재편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평가와 맞물린다.

 

전문가들은 초대형 데이터센터 구축이 AI 서비스 품질과 범용화에 필수 기반이 된 만큼, 이번 파트너십이 세계 기술 패권의 향방을 좌우하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내다본다. BBC와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외신도 “AI 인프라 전쟁의 본격화”, “글로벌 기술 생태계의 재편 신호탄”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AI 산업을 둘러싼 초국경적 협력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이번 엔비디아-오픈AI 데이터센터 동맹이 세계 기술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엔비디아#오픈ai#ai데이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