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 냉각, 금리 인하로 대응”…미국 연준 0.25%p 단행에 글로벌 파장
현지시각 17일, 미국(USA) 워싱턴 D.C.에서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가 0.2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하를 전격 단행했다. 9개월 만에 처음 이뤄진 이번 금리 인하는 최근 고용시장 둔화 등 미국 경제의 위험 신호에 대한 적극적 대응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번 결정은 글로벌 금융시장과 세계 통화정책에도 복합적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존 4.25~4.50%였던 금리를 4.00~4.25%로 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지난해 12월을 끝으로 다섯 차례 연속 금리 동결을 유지해왔으나, 노동시장 위험이 증대됨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 이후 처음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고용시장의 하강 위험이 커지면서 인플레이션 위험과의 균형이 변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추가적인 정책 완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보다 중립적인 정책 입장을 향한 대응”이라며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노동시장 현황에 관해선 “최근 고용 증가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약화되는 추세”라고 평가, 금리 인하 배경을 명확히 했다.
미국 경제 지표와 관련해 파월 의장은 실업률 4.3%, 상반기 성장률 1.5%라는 점을 언급하면서도 “미국 경제가 나쁘지 않다”고 진단했다. 완만한 성장과 기초 체력 유지에도 불구하고, 대외적 불확실성과 실업률 상승이 인하 결정에 무게를 더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올해와 내년까지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점진적으로 누적시킬 전망”이라며, 상품 가격 상승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미치지는 않았으나, 일부 전가 현상은 분명히 나타나고 있음을 인정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의견 차이도 존재했다. 일부에서는 0.5%포인트의 ‘빅컷’도 거론됐지만, 파월 의장은 “노동시장 위험을 신속히 반영한 선택이었으며 광범위한 지지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연준의 독립성을 둘러싼 외부 압력 의혹에 대해서도 “정책 결정에 있어 독자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는 미국 경제에서 전환점”이라며, 향후 추가 완화 또는 재동결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주요국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도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전 세계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미 연준의 신중한 추가 대응 여부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인하가 유럽(EU), 일본(Japan)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정책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한 관측도 나온다. 앞으로도 미국(USA) 연준의 행보가 세계 경제 및 통화질서에 어떤 변화의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