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익을 정쟁의 도구로 삼았다"…더불어민주당, 한미 ‘2+2 협의’ 연기 두고 국민의힘과 격돌
정치

"국익을 정쟁의 도구로 삼았다"…더불어민주당, 한미 ‘2+2 협의’ 연기 두고 국민의힘과 격돌

오태희 기자
입력

한미 ‘2+2 통상 협의’ 연기를 둘러싼 외교 책임 공방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치열한 정쟁으로 비화했다. 한미 간 재무·통상 수장급 대화 일정이 미뤄진 상황에서 양당은 국익과 동맹 신뢰를 놓고 날선 비난을 쏟아냈다.

 

더불어민주당은 24일 국민의힘이 협의 연기 사실에 대해 정부 책임론을 제기하자, “국익을 정쟁의 수단으로 삼았다”고 맞섰다.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마크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의 면담 불발 관련해 득달같이 공세를 폈다”며 “한미 간 통상·안보 협상이 좌초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보일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박 수석대변인은 “한미동맹을 누구보다 강조해온 국민의힘이 오히려 한미 간 신뢰 관계를 흔드는 작태를 보여 유감”이라며 “국익은 결코 정쟁의 도구가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위성락 실장과 루비오 보좌관의 면담은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호출로 성사되지 못했지만, 양측이 유선으로 충분히 협의했다”고 밝히며, “이재명 정부는 한미동맹을 굳건히 하면서도 국익 수호와 유리한 협상 조건을 이끌기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국민의힘은 도움을 주지 못할망정 방해만 하고 있다”며 “양국 신뢰를 훼손하고 국민 불안을 조장하는 파렴치한 정치 공세를 멈추라”고 덧붙였다.

 

반면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같은 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위기의 책임은 이 대통령과 민주당에 있다”며 “이 대통령식 외교가 현실에서는 신뢰 상실과 외교 고립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이처럼 한미동맹의 외교적 신뢰와 국익을 둘러싼 책임 공방이 양당의 대결 구도로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한미 협의 연기를 둘러싼 설전이 외교 라인의 신뢰도는 물론 향후 경제외교 전략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국회는 한미 ‘2+2 통상 협의’ 연기 문제를 두고 정면 충돌 양상을 빚었으며, 여야는 외교 현안의 책임 소재와 국익 실현 방안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동맹 신뢰와 국익, 외교적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이 당분간 지속될 분위기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한미2+2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