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수출 3개월 연속 내리막”…베트남, 트럼프 관세에 무역흑자 감소 우려
현지시각 기준 8일, 베트남(Vietnam) 정부는 10월 수출이 420억5천만 달러로 전월 대비 1.5%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미국(USA)으로의 수출도 134억 달러로 2.2% 줄면서, 8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베트남산 제품 상호관세 적용 여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베트남 10월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7.5%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시장 기대치엔 미치지 못했다. 특히 대미 수출이 지속적인 감소를 보여 수출 전반에 부담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품목별로는 삼성전자가 선도하는 휴대폰 대미 수출이 15.2% 급감했고, 섬유·의류 역시 7% 하락했다. 반면 신발류는 15% 증가해 품목별 명암이 갈렸다.

미국 시장에서의 부진이 이어지며 10월 무역흑자는 26억 달러로, 전월(28억5천만 달러)보다 줄어들었다. 1~10월 누적 무역흑자는 지난해 대비 16% 감소한 195억6천만 달러에 그쳐, 수출 의존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중국(China)과의 무역 역시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 1~10월 중국과의 무역적자는 939억 달러로 1년 전보다 39% 확대됐다. 여전히 부품·소재 수입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음을 시사한다.
지난달 26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말레이시아 방문을 계기로 양국간 새로운 무역협상안이 큰 틀에서 타결됐다.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에 최혜국 대우를 적용하고, 미국은 일부 베트남산 제품의 관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세부조건은 조만간 확정될 예정이다.
팜 부 탕 롱 ‘호찌민시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내년 베트남 수출 증가율은 7~8% 수준에 머물 것”이라며 “현 관세 영향은 당분간 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라고 진단했다.
베트남 정부와 업계는 미·중 관세 영향, 주요 수출시장의 변화 그리고 무역협상 결과의 시장 반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수출 감소와 무역협상 전개가 향후 베트남 경제와 동남아 공급망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