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졸속 조직개편 혼란 여야 충돌”…국회 환노위, 기후·에너지 첫 국정감사 앞두고 내홍

한유빈 기자
입력

정부조직 개편이 몰고 온 파장이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기존 환경·노동 소관을 넘어 기후 및 에너지 분야까지 떠안은 환노위가 14일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사실상 내홍을 겪고 있다. 준비 부족과 책임 논란이 맞물리면서 정치적 충돌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1일 출범했으며, 국회는 지난달 말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처리하며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을 환경부로 이관했다. 그러나 부처 출범 시점이 국정감사 준비 시기와 맞물리면서 국회 환노위는 준비 부족에 대한 우려에 직면했다. 위원 정수 증원조차 불발된 채 기존 16명의 여야 의원이 확대된 소관 분야 전반을 총괄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책 개편 시급성을 고려해 부처 신설을 미루지 않고 단행했으나, 환노위 내부에서도 갑작스러운 변화에 혼선이 이어졌다. 환노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에너지 공기업들과 비공개 업무보고를 받아 기초자료 확보에 나섰고, 보좌진 역시 산자위 동료들로부터 자료와 질의서를 인수받는 등 전방위적 대응에 들어갔다. 노동권 의원실은 에너지 공기업 노동조합과의 협력도 확대하며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조직 개편의 졸속 추진을 강하게 비판했다. 야당 간사 김형동 의원은 1일 전체회의에서 “에너지는 저희가 내용을 모르는데 감사를 하는 게 맞는가. 일종의 시험에서 문제가 갑자기 바뀌거나 늘어난 것”이라고 지적하며, “에너지 관련 국정감사는 올해만 기존 산자위에서 하고, 내년부터 환노위가 담당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소속 안호영 위원장도 “부처 변경 과정에서 혼란과 미흡함이 있겠지만, 충실한 국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자”고 말했다.

 

환노위 관계자는 “나름 경우의 수를 생각하며 준비를 해왔다. 수박 겉핥기라는 지적이 불가피할 수는 있으나 큰 혼란이 없도록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정부조직법 개정은 사전에 예고된 사안이라, 환노위 측에서도 에너지 분야 이관을 전제로 업무적 보완에 나섰다는 후문이다.

 

국회 주요 상임위의 급격한 역할 확대를 두고 정치권 내 우려의 목소리와 조직 적응 노력이 교차하는 가운데, 향후 첫 국감이 어떻게 치러질지에 관심이 모인다. 정치권은 향후 상임위 효율화와 추가 대응책 마련을 놓고 치열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회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정부조직법개정안#에너지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