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민 참여형 대화 시스템 필요”…이석연 국민통합위원장, 사회적 갈등관리 새 방안 모색
정치

“국민 참여형 대화 시스템 필요”…이석연 국민통합위원장, 사회적 갈등관리 새 방안 모색

권하영 기자
입력

사회적 갈등관리 전략을 두고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국민통합위원회(위원장 이석연)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사회적 대화 기구 구축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며 국민 참여형 소통체계 마련을 위한 해법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자문회의에는 이강원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소장, 조성훈 한국갈등해결센터 사무국장, 한국행정연구원 최호진 선임연구위원, 채종헌 공공갈등관리센터 소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정부 주도의 ‘선택형 공론화’에서 벗어나 국민 직접 참여 기반의 온오프라인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특히 "갈등에 대한 공감과 합의형성 과정을 우선적으로 설계하라"는 주문이 이어졌다.

이들은 국민통합위원회가 갈등의 해결자가 아니라 균형 잡힌 관리자로서 사회적 대화의 장을 주도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현장에서는 “위원회가 이해관계자 간 갈등을 일방적으로 해소하기보다는, 다양한 목소리가 균형 있게 반영되는 구조가 우선돼야 한다”는 견해가 강조됐다.

 

국민통합위원회는 자문 결과를 바탕으로 5대 사회갈등, 즉 정치, 지역, 양극화, 세대, 젠더 분야에서 국민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지속적 대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석연 위원장은 “국민의 신뢰와 공감대 형성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 사회적 대화 기구의 역할을 다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정치권에서는 그간 반복돼온 사회갈등이 국민통합을 가로막는 주된 요인으로 꼽혀 왔다. 이에 따라 환류적 소통 절차와 실질적 합의 도출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는 분위기다.

 

국민통합위원회는 앞으로도 각계 전문가 조언과 국민 의견을 수렴해 참여형 공론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해 나갈 방침이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석연#국민통합위원회#사회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