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내 금값 64만8천원 돌파”…연준 완화 기대에 신기록 경신
경제

“국내 금값 64만8천원 돌파”…연준 완화 기대에 신기록 경신

배진호 기자
입력

국내 금값이 23일 오전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9월 23일 오전 9시 기준 금 1돈의 국내 시세는 648,413원으로, 전일 대비 5,288원(0.8%) 상승했다. 전일까지의 1년 최고가였던 643,125원을 하루 만에 넘어섰으며, 거래대금도 1,256억 원에 달해 금 투자 열기를 방증했다.

 

최근 일주일간 금값은 624,750원에서 꾸준히 오르내리며 변동성을 보였고, 연이어 최고가를 경신하는 흐름을 이어갔다. 일주일 평균가 대비 11,646원(1.8%) 올랐고, 최근 30일 평균가보다 53,221원(8.9%) 높을 정도로 단기간 내 뛰어난 상승세다. 최저가인 419,925원과 비교하면 54.4%의 급등폭을 기록했다는 점에서도 이례적인 시장 분위기가 감지된다.

국내 금값 64만8천원 돌파…연준 완화 기대에 신기록 (금값시세)
국내 금값 64만8천원 돌파…연준 완화 기대에 신기록 (금값시세)

국제 시세도 상승했다. 한국거래소 집계 기준 국제 금가(국내 기준가)는 356원(0.1%) 올랐고, 환율 역시 1,393원으로 전일 대비 1.1원 올라 원달러 흐름 역시 금값의 추가 랠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금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 국채금리 하락, 달러 약세,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 확대, 금 ETF 자금 유입이 금 투자심리를 자극하며 역대 최고가 경신을 견인했다.

 

특히 CME FedWatch에선 올해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반영되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달러지수(DXY)가 97.50 부근까지 하락하고 10년물 미국 국채 수익률도 약세를 보여 금의 추가 상승 여력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과 환율, 국제 금융시장 동향이 향후 금값의 주요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금값 조정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상승 흐름이 유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시장 주요 변수의 흐름에 따라 국내외 금값 변동성은 당분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내금값#한국거래소#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