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3800ppi XR헤드셋 공개”…차세대 가상현실 시장 재점화
삼성전자가 차세대 XR(확장현실)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을 오는 10월22일 온라인 행사에서 최초 공개한다. 이번 신제품은 공개와 동시에 정식 판매에 돌입할 계획으로, 전작과 달리 기존 모바일 기기의 사전 예약 단계를 생략하는 점이 특징이다. 3800ppi(인치당 픽셀 밀도)를 자랑하는 마이크로디스플레이와 구글 협업 기반의 첨단 인공지능(AI) 입력방식이 뒷받침돼, VR·XR 산업 내 기술경쟁의 중심에 오를 전망이다. 업계는 이번 공개를 ‘차세대 XR기기 경쟁의 분기점’으로 해석하며 초기 수요와 시장 확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자가 내놓는 XR 헤드셋 ‘무한’은 약 3800ppi의 1.3인치 OLEDoS(올레도스) 마이크로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애플 ‘비전 프로’가 채택한 3391ppi, 1.42인치 패널보다 픽셀 밀도 측면에서 약 10% 이상 앞서, 사용자가 실제와 가장 유사한 영상 체험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XR 콘텐츠 구동을 위한 퀄컴 스냅드래곤 XR2+ 2세대 프로세서, 16GB 램도 적용이 유력하다. 외신에 따르면, 실제 헤드셋 내 핵심 부품 구성을 통해 고품질 증강·가상현실 환경 구현에서 강점을 확보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헤드셋이 가진 디스플레이 선명도 한계를 극복했다.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를 겨냥한 만큼, 삼성전자는 구글과의 협업으로 멀티모달 AI 입력(음성, 손짓, 시선 추적 활용)도 강화한다. 사용자는 버튼 조작 없이 시선이나 몸짓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전망이다. 콘텐츠 측면에서도 구글을 비롯한 파트너사들과 전용 XR 서비스 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다.
시장에서는 현재 애플 ‘비전 프로’가 기대 이하의 판매량에 그친 데 비해 삼성전자의 무한은 10만대 내외로 초기 생산량을 소규모 산정하는 등 수요에 따른 유연성을 확보했다. 가격대도 3499달러(애플)와 499달러(메타 퀘스트3) 사이인 200만원 후반대가 유력시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시장 반응을 확인한 뒤, 생산과 유통 전략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것으로 내다본다.
글로벌 XR 경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삼성은 자체 트라이폴드폰, 내년 초 XR 글래스 ‘해안’ 등 하드웨어 라인업까지 연이어 선보일 계획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삼성·구글식 AI 융합과 초고밀도 패널이 접목되며, XR생태계 주도권 도약 등 산업 패러다임 변화가 예고된다”고 분석한다.
제품의 출시와 상용화에 있어서는 콘텐츠 호환성과 소프트웨어 생태계, 정부 차원의 데이터 보호·AR/VR 안전 정책 등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