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수술로 정상 조직 보존”…두경부암 치료 혁신 신호탄
로봇수술 등 혁신적 치료법이 두경부암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최근 두경부암 환자에서 정밀 로봇수술 및 다학제 진료 체계가 확산되며 치료 후 삶의 질 개선과 예후 향상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2주 이상 이어지는 쉰 목소리, 삼킴 곤란 등 증상이 있을 경우 감기나 단순 염증으로 넘기지 말고 조기 진단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전문의 사이에서 커진다. 업계는 이번 임상 및 치료 체계 변화를 ‘기능 보존 중심 두경부암 치료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두경부암은 갑상선, 비강, 침샘, 인두, 하인두, 후두 등 두개저에서 상부식도까지 30여 개 부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통칭한다.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85%는 흡연력과 관련되며, 흡연과 음주를 병행할 경우 발병 위험이 15~20배 증가한다. 최근에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편도암·설근부암)이 늘면서 특히 젊은 남성에서 발병률이 상승 추세를 보인다. 미국·유럽에서는 흡연 인구 감소와 함께 HPV 감염에 의한 두경부암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남성도 HPV 백신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

두경부암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거나, 목 이물감·쉰 목소리·삼킴 장애 등 흔한 증상만 보여 진단이 어렵다. 이 때문에 5년 생존율은 50~60%에 그치지만, 조기 발견시 80% 이상 완치가 가능하다. 국내 대형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남성의 발병률이 여성보다 높으므로 정기적인 두경부암 검진이 강조된다. 진단은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후두내시경 검사로 1차 확인 후 영상의학·조직검사가 병행된다.
치료는 암의 위치와 진행 정도에 따라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표적·면역치료가 복합적으로 이뤄진다. 두경부 조직은 신경·혈관·근육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수술 난이도가 높고, 충분한 기능 보존이 중요한데 최근에는 의료로봇 도입이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고 있다.
로봇수술은 기존 개방절제술 대비 정상 조직의 손상을 현저히 줄이고, 얇은 로봇팔로 좁은 구강 내부까지 정밀침습이 가능하다. 구인두암, 특히 편도암·설근부암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암의 완전절제와 동시에 수술시간·회복기간을 기존 대비 크게 단축했다. 기존 광범위 절제술에 비해 외관상 흉터와 안면변형 위험을 줄이고, 먹는 것과 말하기 같은 중요한 일상 기능 유지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된다. 최근 임상결과에서는 종양학적인 치료 성적에서도 기존 방식을 뛰어넘어 글로벌 표준치료로 자리잡는 추세다.
시장에서는 로봇수술 기반 두경부암 치료가 빠르게 확산 중이다. 삼성, 인튜이티브서지컬 등 주요 로봇수술기 기업들이 관련 의료기기 공급 체계를 고도화하며, 국내외 주요 암센터들도 다학제 진료와 재건수술 등 차별화된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로봇 정밀수술은 이미 주요 두경부암 치료 옵션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다만 두경부암의 진단 및 치료 접근성, 그리고 치료 후 재활관리 시스템 구축은 여전히 과제로 꼽힌다. 국내에서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와 함께 의료진·환자 대상 교육 및 재활·영양 관리가 병행된다. HPV 관련 암의 경우 남성 대상 예방백신 접종률 제고와 감염 예방 캠페인도 병행된다.
전문가들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는 두경부암 특성을 감안해 정기 검사와 최신 치료법 도입이 생존률을 좌우할 것”이라 강조한다. 두경부암 치료와 환자 삶의 질 최적화를 위한 기술 혁신과 제도 개선이 맞물릴지 산업계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