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마약류 선제 합성”…식약처, 표준물질 확대한다
신종 마약류가 국내에 실시간으로 유입되며 마약 수사와 연구 현장이 총체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평가원은 매년 신종 마약류 표준물질 합성사업을 전개하며, 치밀해진 마약 유통 및 범죄 환경에 맞춰 과학적 분석과 신속한 수사 지원의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합성 및 지원 체계를 마약 수사의 ‘증거 과학 경쟁’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신종 마약류 표준물질은 수사기관과 연구기관이 확보한 의심 물질이 실제 마약인지 객관적으로 판별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해외에서 새로 출현하거나 국내 유통이 확인되는 변종 마약의 경우, 기존 상용 표준품만으로는 확인이 어렵거나 도입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었다. 직접 합성한 표준물질을 현장에 공급함으로써 수사기관의 증거 확보 신뢰도를 높이고, 연구기관 역시 신종 약물 평가와 동시분석 기술 고도화에 실효성을 더할 수 있게 됐다.

식약처 식품의약품평가원은 2017년부터 매년 20여종의 신종·임시 마약류를 직접 합성해 대검찰청, 관세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기관과 대학에 분양하고 있다. 2023~2024년에도 연간 20종이 합성됐으며, 지난해는 일반 마약류 표준물질 40종도 별도 개발해 공급했다. 이로써 국내 유입 추적, 실시간 분석, 동시분석법 적용 등 마약 검사의 전체 과정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할 토대가 마련됐다.
특히 이번 사업은 상용 표준품 구매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줄일 뿐 아니라 국내 환경에 특화된 독자적 분석법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동시분석법 적용 범위 확대, 신약물의 빠른 샘플 확보, 국제 표준과의 비교평가 등에서도 식약처 주도 합성 시스템만의 경쟁력이 부각된다.
해외 사례와 비교하면, 미국·유럽 등 주요국도 마약류 신물질에 대한 표준물질 합성과 신속 분석 시스템 강화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식약처의 선제적 대응이 수사·치료·연구 현장 지원을 공공기관 중심에서 체계화했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표준물질 확보와 분양, 분석법 개발 등 실질 지원이 늘면서 마약 검출 및 법정 증거자료의 과학적 신뢰성 확보도 높아질 전망이다. 다만 표준물질 관리, 마약류 합성 관련 윤리·안전 기준 준수, 국제 인증과 현장 연계성 보완 등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식약처는 2025년부터 신종 마약류 합성 개수를 연간 30종으로 확대해 공급할 계획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마약류 동시분석법의 현장 활용성과 실효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신종마약류의 선제적 확보 체계를 통해 국내 유입 시 즉각적 대응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산업계와 수사 현장은 표준물질 기반 분석 체계가 실제 범죄 대응 효과를 높이고, 과학적 증거 체계 강화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