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I 산업 거점 도약”…김영록 전남지사, 국회·기재부에 국비 확보 총력

박진우 기자
입력

예산 정국이 가열되는 가운데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026년 정부 예산 확보를 위해 국회와 기획재정부를 연이어 찾았다. 인공지능 산업 등 주요 사업의 반영을 놓고 국회·행정부와 치열한 예산전쟁이 벌어지는 모양새다.

 

13일 김영록 지사는 서울 국회의원회관을 방문해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를 직접 만났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전남은 SK·OpenAI와 데이터센터 구축 협의를 진행 중이며, 대한민국 AI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다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말씀처럼 전남 발전의 전기가 마련되도록 여당 간사로서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영록 지사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731억 원, 고흥~봉래 국도 15호선 4차로 확장 130억 원, 국립 김산업진흥원 설립 10억 원, AI 첨단 축산업 융복합 밸리 조성 5억 원, 디지털 기반 자원순환 시범산단 구축 40억 원, 전남 5·18기념관 및 커뮤니티센터 조성 5억 원 등 주요 사업과 관련한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앞서 12일에는 임기근 기획재정부 2차관을 만나 “국회 증액 단계에서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성장의 축이 될 전남의 주요 사업이 반드시 반영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예산안 심의 막바지 단계에서 전남의 미래 산업 육성 필요성을 거듭 전달했다.

 

전라남도는 2026년 정부 예산안에 전년 대비 6% 증가한 9조4천188억 원 규모를 반영한 상태다. 예산 확대 요구가 이어지면서 전남의 현안 사업이 최종 정부안에 얼마나 반영될지 주목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김영록 지사의 면담 행보가 내년 총선 국면을 앞두고 지역 현안 해결과 국비 추가 확보 명분 쌓기란 해석도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정부의 지출 구조조정 기조에 따라 예산 증액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날 국회는 2026년 예산 심의 착수와 함께 각 지자체장의 국비 확보 요청이 잇따르는 가운데 정치권 곳곳에서 치열한 공방이 이어졌다. 전남도는 향후 국회 심의 과정에서 추가 예산 확보를 위해 지자체와 중앙정부, 여야 정치인 간 협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영록#이소영#임기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