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평화 해법 진전 반긴다”…정부, 트럼프 구상 후속 이행 촉구
가자지구 분쟁 해결을 둘러싸고 국제사회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우리 정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기 주도권을 놓고 맞붙었다. 팔레스타인 지역 평화구상에 하마스의 부분적 수용 움직임이 더해지며 외교적 해법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정부가 4일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공식 성명을 내고, “가자지구 분쟁 종식을 위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포괄적 계획이 진전을 이룬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중동 분쟁의 복잡성과 이해당사자 간 합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이번 진전의 파급효과를 두고 판단이 엇갈리고 있다.
이어 정부는 “이번 진전이 가자지구 휴전과 모든 인질 석방, 인도적 상황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당사국들이 조속히 후속 이행에 합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측은 중동 평화 증진을 위해 국제사회가 꾸준히 협력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중동 평화 증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지속 적극 동참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공동으로 내놓은 평화 구상안에 하마스가 일부 수용 의사를 밝힌 직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는 무장단체 하마스에 인질 전원 석방과 무장 해제 등이 포함됐다. 하마스는 “남아있는 인질을 전원 석방하고, 가자지구에서의 권력을 포기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알렸다. 이로써 2년 가까이 이어진 가자지구 분쟁이 해소 국면으로 진입할 것이란 전망이 커지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이스라엘 역시 미국의 중재 아래 가자지구 종전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한·미 등 국제사회의 역할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와 달리, 일부 전문가들은 이행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적지 않다는 점도 지적한다.
한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과 중동 불안정 해소에 압박을 가하는 국제적 흐름 속에서, 팔레스타인 평화 이슈에 대한 책임 있는 행보를 이어갈 방침이다. 향후 정부는 후속 이행 상황과 국제사회 협의 결과에 따라 외교적 지원책을 조율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