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비스 중국 판매 전면 중단”…앤스로픽, 미중 기술 통제 속 붉어진 충격파
현지시각 4일, 미국(USA)의 인공지능(AI) 기업 앤스로픽(Anthropic)이 중국(China)계 기업에 대한 AI 서비스 판매를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AI 기술 및 국방 안보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미중 간 기술 통제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가속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앤스로픽은 중국을 비롯해 러시아, 이란, 북한 등 미국의 적대국 기업이 AI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클라우드 기반의 AI 모델 이용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서비스 제한이 예고되며, 앤스로픽 측은 매출에 최소 ‘수억 달러’, 최대 18조원에 달하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번 조치의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초음속 무기·핵무기 시뮬레이션 등 군사 기술 개발에서 AI 활용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미국 내 우려가 자리한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미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 투자 심사 강화 등 광범위한 첨단 기술 통제 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이번 앤스로픽 사례 또한 ‘기술 안보’ 중심 기조를 강화하는 흐름으로 풀이된다.
싱가포르 등지의 중국계 글로벌 자회사, 그리고 바이트댄스(ByteDance),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 등 대형 테크 기업들도 이번 조치의 영향권에 포함될 전망이다. 추가로, FT는 미중 정상회담 전까지 트럼프 행정부의 신규 AI 통제가 유예된 상황임을 덧붙였다.
이에 대해 중국 당국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AI 기술 통제를 두고 양국 간 갈등과 상호 규제 강화가 재차 예고되고 있다. 미국 증권가에서는 앤스로픽, 오픈AI, 구글 등 AI 빅테크들의 매출 변동, 중국 기업의 해외 서비스 이용 제한에 따른 전략 수정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국제 여론 또한 미중 기술 경쟁과 안보 프레임이 한층 깊어진 사실에 주목한다. 뉴욕타임스와 FT 등 주요 매체는 “AI 공급망의 지정학적 차단” “첨단 기술 블록화의 신호탄” 등으로 이번 조치의 의미를 해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발 AI 수출 통제 조치가 글로벌 기업 실적, 투자와 증시의 변동성 확대라는 후폭풍을 부를 수 있다”며, 정책 변화 및 지정학 리스크 관리를 주문했다. 실제 중국 내에서는 VPN을 통한 미국산 AI 서비스 우회 접속이 일부 이뤄지고 있으나, 양국의 규제 강화가 장기화할 경우 글로벌 빅테크의 사업 환경이 크게 바뀔 전망이다.
이번 조치가 미중 양국은 물론 글로벌 AI·빅테크 산업 질서에 어떤 영향을 남길지 국제사회와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