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위해식품 자동 선별”…식약처, 수입식품 통관 점검 혁신
인공지능(AI)이 식품안전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 1월부터 AI 기반 위험예측 모델을 수입식품 통관검사에 본격 도입한다고 밝혔다. 최근 2020년 75만 건에서 2023년 84만 6000건으로 수입식품 규모가 급증하는 등 식품안전 위협이 복잡해지자, 보다 정밀하고 선제적인 위해식품 차단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AI 활용이 식품안전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식약처가 선보인 'AI 위험예측 모델'은 농산가공식품류(전분·밀가루·견과류 등)와 수산가공식품류(어육·젓갈·건포·조미김 등)를 대상으로 개발됐다. 이 모델은 축적된 부적합 이력, 원재료, 통관 정보는 물론 해외 기상·수질 자료, 식중독·리콜 현황 등 방대한 빅데이터를 AI로 학습해, 통관단계에서 부적합 가능성이 높은 식품을 자동으로 선별한다. 기존에는 표본추출 방식의 무작위검사에 의존해 왔으나, AI 도입으로 검사 대상을 위험도 기반으로 정밀하게 도출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단순 표본추출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다. AI 모델은 과거 부적합 식품의 속성과 유사도를 정량화해, 맞춤형 검사 대상을 선정한다. 지난해부터 과자류, 조미식품 등에 시범 적용한 결과 통관 과정에서 고위험 식품 선별 효율이 대폭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델은 통관 단계에 무리 없이 적용토록 올해 12월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 1월 정식 적용된다. 앞으로도 수입량이 많고 부적합률이 높은 가공식품 유형별로 모델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식약처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입식품 관리 인프라를 통한 혁신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미국 FDA, 유럽 각국이 빅데이터·AI 기반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도입을 확대하는 추세다. 업계 전문가들은 “데이터 기반 AI 기술이 식품 통관 검사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이는 한편, 식품안전 정책의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AI 모델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