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윤석열, 79.9억 신고”…고위공직자 54명 퇴직 재산 변동폭 주목
정치

“윤석열, 79.9억 신고”…고위공직자 54명 퇴직 재산 변동폭 주목

이준서 기자
입력

고위공직자의 재산 변동을 둘러싼 관심이 다시금 정치권에서 촉발되고 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025년 7월 25일 관보를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 등 올해 4월과 5월 사이 신분이 변동된 고위공직자 54명의 재산 내역을 일제히 공개하면서다.

 

가장 주목을 받은 인물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었다. 윤 전 대통령은 총 79억9천115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퇴직 공직자 중 최대액을 기록했다. 작년 3월 공개된 74억8천112만원 대비 5억1천여만원이 늘어난 규모다. 특히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 명의의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대지 및 건물 시세가 3억8천만원가량 상승한 것이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윤 전 대통령은 애초 지난 3월 정기재산변동신고 대상이었으나, 당시 구속 상태가 이어지며 신고 공개가 유예됐다. 이번에 퇴직 재산으로 신고가 이뤄졌다.

현직 고위공직자 가운데 이준일 주이라크대사는 52억7천916만원을 신고해 이름을 올렸다. 이 대사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 등 부동산 24억원과 예금 27억원 등, 본인과 가족 재산이 고르게 분산된 것으로 집계됐다. 조정아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은 44억1천521만원을 신고했다. 조 처장은 자신과 배우자 명의의 경기도 안양시 아파트와 전북 익산 논밭 등 18억3천만원 부동산 외에도, 예금 25억6천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기홍 외교부 공공외교대사는 41억7천461만원을 신고했으며, 대부분은 서울 용산구 아파트와 충남 천안 복합건물 지분 등 36억원에 달하는 부동산 재산이었다.

 

퇴직자 가운데선 윤 전 대통령 다음으로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5억1천483만원을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 그의 재산은 종전보다 4천943만원 늘었으며, 지난 신고 당시 논란이 불거졌던 1억9천712만원 상당의 미국 국채도 여전히 공식 보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준표 전 대구광역시 시장은 42억6천370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전년과 거의 차이가 없다고 신고했다.

 

정치권에서는 공직자의 퇴직 후 재산 변동 폭에 대한 실질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과, 재산 형성 과정의 투명화 요구가 맞서고 있다. 전문가들도 재산 신고의 정확성뿐 아니라 실질적 공직윤리 확립 방안에 대한 제도적 보완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특히 논란이 반복되는 투자성 자산에 대한 규제 강화 논의가 지적됐다.

 

정부는 공개된 재산 내역을 바탕으로 사후검증 절차는 물론, 재산 형성 경위 등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다. 관보 등 공식 채널을 통한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는 지속될 방침이다.

이준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석열#최상목#고위공직자재산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