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바이오 혁신 가속”…정부, 2030년 수출 2배 전략 발표
IT/바이오

“K-바이오 혁신 가속”…정부, 2030년 수출 2배 전략 발표

한유빈 기자
입력

바이오 의약품 기술과 인프라 혁신이 한국 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품 수출을 2배로 확대하고, 글로벌 임상시험 3위권 진입과 함께 블록버스터 신약 3개 창출에 나선다. 이번 전략은 규제 혁신, AI 기반 신약개발, 생산·인력·투자 생태계 강화,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것이 특징이다. 산업계는 이번 발표를 ‘K-바이오 글로벌 주도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정부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6개 부처는 5일 바이오 업계 대표 등 130여 명이 참석한 ‘바이오 혁신 토론회’에서 ‘K-바이오 의약산업 대도약 전략’을 공개했다. 이 전략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이 2023년 기준 5649억 달러(약 786조원)로 성장하는 상황에서, 국내 바이오시밀러·CDMO(위탁개발생산) 역량, 세계 10위권 수출 등 당면한 경쟁력을 더 강화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핵심은 사용자 중심의 규제환경 혁신과 신속허가 시스템 구축이다. 정부는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요건을 완화하고, 허가 심사에 인공지능(AI) 자동화 및 심사 인력 확충을 적용해 전체 심사 기간을 약 4개월 단축할 계획이다. 또 허가-급여-약가협상의 동시진행 제도화(2027년까지)로 건강보험 등재를 빠르게 마치는 절차 혁신 방안도 포함됐다. 기존 방식 대비 규제·허가 단계의 병목을 대폭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첨단기술 연계도 전략의 한 축이다. AI 기반 신약 개발, 실험실 자동화, 유전자·세포치료 등 표적형 신의약품 R&D가 본격화된다. 한국인 100만명 규모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공유 플랫폼 고도화로, 신약연구와 임상시험의 속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실전형 인재 11만명 양성, 바이오펀드 확충 등 투자·교육 정책도 동시에 추진한다.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조·수출 지원도 강화된다. 생산초격차(CDMO) 및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을 높이고, 오픈이노베이션 협력으로 바이오벤처의 원천기술이 완제품까지 연결되는 스케일업 생태계가 본격 조성된다. 대기업과 벤처·중소기업 간 수직계열화를 넘어 동반성장 모델을 촉진하는 데 정책 역량을 투입한다.

 

글로벌 시장 경쟁도 관심사다. 미국, 유럽 등 주요 경쟁국 역시 규제 효율화와 디지털 신약, 바이오 빅데이터 축적에 나서고 있는 만큼, 규제와 기술 모두에서 ‘시간당 경쟁력’이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신속 정책·투자와 산업 구조 혁신의 결합이 “K-바이오를 세계 5대 강국으로 도약시킬 교두보”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정부는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규제·제도를 추가로 보완하고, 기업 애로 해소 및 실질적 투자 확대로 이어지도록 후속 방안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이 실질적 시장 안착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집중하고 있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k바이오#바이오의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