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약품 관세 인상 임박”…트럼프 행정부, 유럽과 협상 영향 촉각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에 대한 고율 관세 정책을 2주 내 발표할 방침이어서,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은 29일(현지 시간) 의약품이 최근 미국·유럽연합(EU) 통상 협상에서 핵심 품목으로 부상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조만간 의약품 관세 정책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미국과 EU는 15% 의약품 상호 관세를 포함하는 방안을 합의했으나, 러트닉 장관은 "15%보다 더 높은 관세가 결정될 수 있다"고 언급해 업계에 충격을 안겼다.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관세정책은 의약품 공급국이 미국 내 생산설비를 확충하지 않는 경우, 수입 의약품에 추가적인 부담을 지우는 내용이 골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0% 관세 가능성까지 언급한 바 있다. 이번 발표가 현실화되면 미국 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제약사의 공급 전략, 공급망 구조가 근본적인 변화를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관세 인상은 미국을 주요 시장으로 하는 유럽, 아시아계 다국적 제약사와 제조업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약품은 공장 이전 및 인증 절차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고도정밀 산업이기 때문에, 단기간 내 생산거점 변경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한계가 크다. 15% 이상의 관세는 기존 수출경쟁력 저하와 미국 내 가격 인상 압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무역장벽 강화와 공급망 지역화 움직임이 가속화돼왔다. 다국적 기업들은 미국과 EU, 중국 등 대규모 의약 시장 상황에 맞춰 생산기지 배치와 현지공장 설립을 확대하고 있으며, 요즘 미국의 강경한 보호무역 기조가 산업계 주요 변수로 꼽힌다.
관세 정책 강화가 의료비 상승과 제약시장 혁신 저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미국 내 환자와 보험사, 병원조달 시스템 등 수요자 전반의 비용 부담이 확대될 우려도 나온다. 유럽에서는 보복 관세,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등 타 산업 추가관세 정책까지 맞물려, 글로벌 통상 환경이 더욱 경색될 조짐이다.
미국·EU 간 협상에서는 테크기업을 겨냥한 디지털세, 철강·알루미늄 분야까지 논의 범위가 넓어지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향후 의료·바이오산업뿐 아니라 글로벌 IT·테크 공급망까지 관세 및 규제 압박이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본다.
"향후 미국 시장 내 현지생산 확대와 생산거점 다변화가 공급망 전략의 핵심 변수로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며, 업계는 각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산업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기술과 생산, 무역정책 변화가 바이오·IT 융합 산업의 경쟁력에 중대 변곡점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