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디지털 자산이 은행 넘었다”…리플 XRP, 글로벌 100대 기업 시가총액 진입 파장
국제

“디지털 자산이 은행 넘었다”…리플 XRP, 글로벌 100대 기업 시가총액 진입 파장

김서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12일, 실시간 집계 사이트 CompaniesMarketCap·CoinMarketCap에 따르면 리플 XRP(엑스알피)는 시가총액 1천8백억 달러 선을 돌파하며 글로벌 100대 자산 명단에 처음 진입했다. 이로써 XRP는 시티그룹과 인도 HDFC은행을 제치고 다국적 금융·원자재·ETF가 주도했던 자산 순위에서도 디지털 자산의 입지를 공식화했다. 이번 성과는 전통 금융권과 디지털 자산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금융업계뿐 아니라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리플사의 제도권 진입 전략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특히 스페인 대형은행 BBVA와의 커스터디(수탁) 파트너십 체결은 전통 금융기관이 디지털 자산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방증한다. 더불어 지난해 12월 출시된 스테이블코인 RLUSD 도입은 리플 생태계의 활용도를 넓히고, 수익원 다각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제도권 채택과 생태계 확장은 투자자 신뢰 회복과 함께 시장 자금 유입, 개인 투자자 중심 매수세를 일으켜 XRP 시가총액의 비약적 상승을 견인했다.

리플 XRP, 글로벌 상위 100대 기업 시가총액 진입
리플 XRP, 글로벌 상위 100대 기업 시가총액 진입

전통 금융권과 디지털 자산이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이번 사례는 암호화폐 산업의 상징적 이정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물론 기업 시가총액과 암호화폐 토큰의 유통량 기반 평가액 간 비교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기업은 수익성, 규제 리스크, 주주 가치 등이 직접 반영되지만, 암호화폐는 유통량과 시세의 곱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XRP가 제도권 자산군과 같은 무대에 오른 사실은 암호화폐 채택의 대세화 전환점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각국 금융당국과 투자자 커뮤니티는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디지털 머니와 전통 금융의 경계가 급속히 흐려지고 있다’고 평가했고, 블룸버그는 ‘XRP와 커스터디 파트너십 체결이 은행권 암호화폐 도입 가속화의 신호탄’이라고 분석했다. 미국(USA)과 유럽(EU) 규제 당국은 신중론을, 주요 증권거래소와 기관투자자들은 일부 긍정 신호를 내비쳤다.

 

시장 전망도 분분하다. 낙관론은 BBVA 등 대형 은행권의 통합, RLUSD·스테이블코인 확산, 국경 간 결제 확대와 같은 제도권 도입이 더욱 가속화될 경우 XRP의 글로벌 위상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본다. 반면 암호화폐 특유의 변동성, 대규모 자금 반전 가능성, 그리고 규제 환경 악화 가능성은 여전히 불확실성으로 지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XRP가 글로벌 100대 자산 타이틀을 차지한 사건은 블록체인 기술과 전통 금융 질서가 점차 수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간 시장 데이터의 변화와 투자자 커뮤니티 내 기대감은 “금융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는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조치가 전 세계 자산시장과 금융 규범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리플xrp#bbva#rlu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