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제외 촉구”…미국 자동차 업계, 산업용 로봇 규제에 투자 차질 우려
현지시각 22일, 미국(USA) 주요 자동차 업계가 산업용 로봇과 기계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제외해 달라고 미 상무부에 공식 요청했다. 이는 신규 관세가 자동차 생산비 상승 및 신차 가격 인상, 차량 공급 차질 등 직접적인 경영 악영향을 초래한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관세 정책 논란은 미-중 무역 긴장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 속에서 관련 업계와 국제사회가 어떻게 대응하고 나서는지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주목된다.
미국 자동차혁신연합(AAI)은 현지 기준 22일 상무부가 추진 중인 국가안보 조사의 일환으로 산업용 로봇, 스탬핑·프레싱·절단·용접 등 특수 자동화기기, 금속 가공 장비 등의 관세 부과를 검토하는 데 대해 강하게 이의를 제기했다. 연합 측은 관세 부과 시 주요 제조 장비 가격 급등과 생산 일정 지연이 불가피하다며, 이미 높은 자동차 소매가가 추가로 오르고 미국 내 공급 부족까지 심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미국 내 2023년 기준 신규 로봇·산업기계 설치의 40%가 자동차 산업에 집중됐다는 실증 자료를 언급하며, 업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경고했다.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폴크스바겐, 현대차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소속된 이 연합은 관련 설비를 관세 예외 품목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완성차 업계 외에도 전기차 기업 테슬라 역시 관세 정책이 투자와 신공장 설립 등에 부정적 파급을 낳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자동차 업계를 넘어 미국소매협회(NRF) 등 산업 관련 단체들도 우려 목소리를 더했다. NRF는 관세와 공급 부족이 중복될 경우, 매장·물류센터의 로봇 활용이 위축되고 운영 비용과 소비자 물가가 동반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상공회의소는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의 근간이 위협받을 것이라며, 핵심 장비 EUV 노광장비 등의 관세 적용 시 산업 전반의 혼란을 지적했다.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중국(China), 캐나다(Canada), 일본(Japan), 스위스(Switzerland), 유럽연합(EU) 등 주요 교역국들도 미국 정부에 공식 반대 의견을 밝힌 것으로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이들 국가는 세계 제조업 공급망의 안정과 자유무역 원칙 유지를 강조하며 국제사회 공동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 내외 주요 매체와 시장 분석가들은 산업용 로봇 및 자동화 설비 관세가 자동차·반도체 등 첨단 제조업 전반의 투자 위축과 수급 불확실성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한다. 이번 논란이 미국 산업 전략과 세계 무역 환경 변화에 어떤 변곡점을 가져올지 업계와 각국 정부, 국제기구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관세 결정이 실제 이행될 경우, 자동차 및 전자산업의 공급망 재편과 글로벌 투자가 위축될 위험성이 높다며 향후 미-중 패권 경쟁과 공급망 세계화 흐름 속에서 추가적인 외교적 마찰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미국 정부의 최종 관세 방침과 업계·교역국 협상의 여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