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지탱하는 새벽배송 금지 막아달라”…국민청원에 워킹맘 호소, 정책논란 확산
새벽배송 금지 추진 움직임에 맞서 워킹맘이 국회 국민동의 청원에서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택배노동자 과로 개선을 요구하는 노조와, 소비자 불편을 우려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충돌하며, 국회의 논의가 사회적 갈등의 중심에 놓이고 있다.
13일 국회 국민동의 청원 게시판에는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이 게시됐다. 두 자녀를 키우는 워킹맘이라고 밝힌 청원인은 “저녁 늦게 귀가하는 맞벌이 부모에게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가정의 행복과 건강, 육아와 교육을 지켜주는 삶의 기반의 문제”라고 호소했다. 특히 “국민들의 삶과 밀접하고 많은 일자리와 연결된 산업에 대한 규제는 많은 고려와 논의가 필요하다”며, “무작정 금지하는 것은 더 큰 불편과 사회적 갈등을 가져올 뿐”이라고 지적했다. 청원인은 “국민들에게 필요한 게 무엇인지 더 나은 방법을 국회와 국토교통부에서 찾아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노동계와 유통업계의 입장차도 분명해졌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지난달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초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반면 유통업계와 물류업계는 소비자 불편과 물류 일자리 감소 등을 우려하며 새벽배송 금지 방안에 난색을 표했다.
소비자 단체 설문조사에서는 새벽배송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드러났다. 사단법인 소비자와함께와 한국소비자단체연합이 최근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4%는 새벽배송이 중단될 경우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고 답했으며, 새벽배송 경험자의 99%는 계속 이용 의사를 밝혔다. 이 같은 수치는 새벽배송이 단순한 서비스 차원을 넘어 시민 생활에 깊이 뿌리내린 현실을 방증한다.
정치권에서는 노동계의 건강권 개선과 시민 생활 편의 간 균형을 두고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워킹맘의 국민청원과 시민사회 반응을 계기로 새벽배송 금지 논란이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회와 정부는 사회적 합의와 실효성 있는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