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사회적 토론 제도화 절실’…김민석 총리, 첫 ‘K-토론나라’서 청년 참여 확대 주문”
정치

“‘사회적 토론 제도화 절실’…김민석 총리, 첫 ‘K-토론나라’서 청년 참여 확대 주문”

한유빈 기자
입력

사회적 대화 방식의 전환을 두고 김민석 국무총리가 직접 청년들과 머리를 맞댔다. 정치권에선 사회적 합의 플랫폼 구축을 운영하며 청년 세대를 논의의 중심에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 총리는 24일 서울 성동구 상상플래닛에서 '제1차 K-토론나라:미래대화 1·2·3' 행사를 주재하며 청년 문제 해결방안을 직접 논의 테이블에 올렸다.

 

김민석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오늘 아침 의대생 문제 때문에 정책 얘기를 했는데, '2천명 그냥 딱 일방적으로 이거 이렇게 해'라는 방식으로 세상이 돌아가는 때는 지나지 않았나 생각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이) 사회적 대화와 토론을 제도화한 사회 협약으로 돌아가는 국가였으면 좋겠다"고 밝히며 다양한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해 청년들이 실질적 논의의 주체가 될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총리는 연금과 저출생 등 주요 현안 논의 때마다 청년 세대의 충분한 참여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이 배심원을 뽑을 때 인구별로 무작위 추출하듯 청년 세대와 관련된 문제라면 그 (관련된) 비율만큼은 청년을 토론에 참여하게 하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총리실 산하 각종 위원회 개편 시, 담당 사안별로 청년을 일정 비율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번 도입이 사회적 갈등을 상시적으로 해소하는 데 긍정적 신호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K-토론나라'는 김민석 총리 주관 아래 사회적 대화 플랫폼 성격으로 격주 단위로 운영되며, 이날 첫 행사에는 각 분야 청년 20여명이 참석해 청년 세대의 고민과 정책 제안에 목소리를 더했다.

 

향후 정부 차원에선 사회적 대화의 제도적 틀이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총리실은 플랫폼 내 청년 참여 활성화를 위해 위원회 개편 및 사회적 합의 절차의 현실화 방안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총리#k-토론나라#청년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