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청년 10명 중 9명 지원 원해”…서민금융진흥원, 자산형성 정책 확대
산업

“청년 10명 중 9명 지원 원해”…서민금융진흥원, 자산형성 정책 확대

정유나 기자
입력

청년 금융지원 정책에 대한 현장 수요가 거세다. 서민금융진흥원이 2년 만에 청년도약계좌 누적 가입자 214만 명 돌파를 발표한 가운데, 청년 10명 중 9명이 금융지원 정책 강화를 요구하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저축·투자 등 자산형성 지원과 대출 이자 경감에 실질적으로 힘을 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다.

 

서금원은 청년도약계좌 2주년을 맞아 실시한 설문에서 전체 응답자의 91.6%가 청년층 대상 금융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응답 가운데 44%는 ‘저축·투자 등 자산형성 지원’, 19.1%는 ‘대출 이자 지원’을 최우선적 정부 지원 분야로 꼽았다. 주거와 결혼 등 필수 생애 비용 확보를 위한 자금 축적에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는 실정이 드러난 셈이다.

출처: 서민금융진흥원
출처: 서민금융진흥원

정책 설계 배경에는 청년층의 자산형성에 대한 높은 수요와 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자리잡고 있다. 금리 인상기와 코로나19 후유증 속에서 청년 세대의 금융 부담이 누적되며, 현금흐름에 직접 도움되는 저축 상품과 이자 지원형 혜택 선호가 뚜렷해진 것이다. 청년도약계좌 납입 유지율이 84.2%를 넘어, 장기 적금에 성실히 참여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는 점도 이 같은 배경을 뒷받침한다.

 

기업 및 금융업계에서도 청년층의 금융 니즈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서금원은 2년 이상 청도계 가입자에게 기존 납입금의 최대 40%까지 부분 인출 서비스와, 적금 성실납입자에 대한 신용점수 가점 제도 등을 새롭게 도입했다. 실제로 응답자의 80% 이상이 두 서비스 모두 “매우 유용하다”고 평가하며 현장 반응도 긍정적이다. 이에 따라 민간 금융사 역시 청년 전용 적금 및 맞춤형 금융상품 출시를 확대하는 움직임이다.

 

정부는 청년 자산형성 정책의 내실화에 방점을 찍고 정책 거버넌스 재정비에 나서는 모습이다. 금융상품의 다양화와 가입 기간별 인센티브 확대, 금융교육·재무상담 등 청년 맞춤형 지원프로그램 개발 손질도 요구받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이재연 원장은 “청년의 눈높이에 맞춘 상품과 실효성 있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통계에서 보듯 청년의 자산확보 욕구가 높아진 만큼, 금융지원책이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의 수급·현장 요구 변화에 얼마나 기민하게 대응하느냐가 정책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내다본다. 정책과 실질 시장 수요 사이의 속도 차를 좁히는 유연한 제도 설계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민금융진흥원#청년도약계좌#금융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