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플랫폼으로 판로 뚫는다”…우체국쇼핑, 특별전으로 피해 소상공인 지원

오예린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서비스 장애로 피해를 입은 우체국쇼핑 입점 소상공인 지원책이 본격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가 30일 밝힌 바에 따르면, 네이버, 카카오, 롯데홈쇼핑 등 주요 민간 플랫폼과 연계한 특별전을 통해 입점 피해업체의 판로 확보와 홍보 지원에 나섰다. 업계는 이번 민관 공동 판촉전이 IT 플랫폼과 전통 유통망이 실질적으로 결합하는 ‘유통 생태계 회복 전략’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특별전은 피해업체의 빠른 시장 복귀와 매출 회복을 목적으로,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대형 온라인 플랫폼, 롯데홈쇼핑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가 참여한다. 우정사업본부는 입점 피해업체의 상세 현황을 이들 기업과 공유하고, 각 사가 행사 기획과 홍보 자원을 제공하는 형태로 협업 구조를 설계했다. 특히 명절 연휴를 앞두고 재고 부담이 큰 소상공인들이 이 기간 내 최대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전국 3,400여 우체국 창구에서도 상품 홍보 및 판매 대행이 병행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모바일 앱, 웹 기반 몰 등 IT 플랫폼의 신속한 이벤트 기획과 맞춤형 추천 솔루션이 동원된다. 기존 우체국쇼핑 자체 플랫폼 외에 대형 네트워크 기반 유입 경로가 확대돼, 중소상공인 제품이 기존보다 3배 이상 넓은 소비자층에 도달할 수 있는 구조다. 기존의 단일 유통 채널 집중 방식에 비해, 디지털-오프라인 융합 분산형 판매망 구축이 돋보인다.

 

피해업체 입장에서는 급격한 매출 손실과 재고 누적을 완화할 수 있게 됐고, 소비자도 다양한 후기 및 인증 기반의 신뢰도 높은 제품을 보다 손쉽게 접할 수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자 검색·쇼핑 서비스 내 특별관, 프로모션 배너를 통해 제품 노출도를 대폭 높여주는 역할을 맡는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대형 플랫폼과 중소상인 지원 정책이 상생의 핵심 축으로 부상한 가운데, 이번 협력 모델이 미국 아마존, 일본 라쿠텐 등 현지 파트너십과 유사한 구조로 설계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국내에서는 민·관 공동 유통지원 체계가 아직 초기 단계로, 이번 조치의 실증 효과가 향후 유사 IT 기반 재난 대응의 표준 사례가 될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이 집중된다.

 

한편 관련 정책 및 제도 측면에서는, 공공기관 서비스 장애가 중소상인 지원정책과 연계되는 방식, 위기대응 프로토콜 정립과 같은 법제화 필요성도 제기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향후 우체국쇼핑 복구와 함께, 유통 데이터 수집·보호, 플랫폼사업자 협력 체계 고도화 등 구조적 대응책을 병행한다는 입장이다.

 

산업계 관계자는 “공공플랫폼 사고에 대한 민관 협력형 판로 지원은 전례가 드문 케이스다. 실제 실적과 시장 반영도를 지켜보며 중장기 표준안으로 정착할지도 검토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기술과 유통, 정책 전반에서의 유기적 연계가 재난 위기 극복과 산업 회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체국쇼핑#네이버#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