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죄문 당헌화 추진”…윤희숙, 국민의힘 혁신 1호 안건 전면에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과거 정치적 과오를 사죄문으로 공식화하고, 이를 당헌·당규에 담겠다는 강수를 꺼내들었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7월 10일 첫 혁신위 회의 직후 사죄문 발표와 단절 선언을 발표하며, 당 내부 쇄신과 미래 전략을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윤희숙 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전횡을 바로잡지 못했고,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이라는 국가적 혼란에 이르기까지 국민의힘이 제대로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며 고개를 숙였다. 혁신위가 결의한 사죄문에는 내분과 계파 위주 운영, 대선 후보 강제 단일화 시도, 2024년 총선 참패 이후 쇄신 실패 등 당의 주요 과오가 구체적으로 포함됐다.

발표된 사죄문은 대통령 부부 전횡 방지 실패, 대통령 탄핵 당시의 판단 미흡, 그리고 특정 계파 중심 정치 운영의 문제까지 포괄하며, 혁신위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판단을 하지 못했다”는 점을 거듭 반성한다고 밝혔다. 윤희숙 위원장은 “잘못을 단호히 명시하고, 앞으로의 혁신 의지를 당헌·당규에 새기는 것이 가장 높은 수준의 사과와 단절”이라고 강조하며, 전 당원 투표로 이 안건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과거 잘못된 점과의 완전한 단절"이라는 입장을 내비치며 혁신위의 방향에 힘을 실었다.
1호 안건에는 사죄문 외에도 공천 시스템 개편, 현장 중심 정당 구현, 당원 소환제 도입, 사익 추구 정치문화 청산 등 구체적 실천 과제가 포함됐다. 혁신위는 7월 14일부터 15일까지 시행될 전 당원 투표에 혁신안을 부치고, 통과 시 당헌·당규 개정에 나설 방침이다. 실제 절차가 진행될 경우 국민의힘 사상 최초로 과오 명시와 제도적 쇄신이 헌장에 기록되는 셈이다.
그러나 내부에선 비판적 목소리도 높다. 안철수 전 혁신위원장 등 일부 인사들은 “인적 쇄신 없이는 근본적 변화가 어렵다”며 혁신위가 책임 인사 방안을 배제한 데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일각에선 “과거 선언문 반복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며, 실효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원 투표 결과와 혁신위 제안의 후속 이행 여부는 지도부 신뢰 회복과 2025년 전당대회 전략에 직결될 전망이다. 국민의힘이 사죄와 단절 선언을 실제로 제도화하며, 국민적 신뢰를 되찾을 수 있을지 시선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