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생식물 해국 추출물”…한의학연, 월경통 완화 과학적 입증
IT/바이오

“자생식물 해국 추출물”…한의학연, 월경통 완화 과학적 입증

전민준 기자
입력

자생식물 해국(Aster spathulifolius) 추출물이 월경통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과학연구부 박기선 박사팀은 해국 추출물이 대표적 부인과 질환인 원발성 월경통에서 통증 감소 성과를 보였다고 16일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결과를 기존 소염진통제 대비 부작용을 줄인 천연 치료제 개발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과 세포 실험을 병행해 해국 추출물이 염증 반응의 핵심 경로인 NF-κB/COX-2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하는 작용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해국 성분이 과도한 자궁근 수축을 조절해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으며, 기존 진통제보다 염증 단백질(프로스타글란딘 등) 발현과 활성산소 생성을 절반가량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원발성 월경통이 유도된 실험용 생쥐에 해국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통증 행동(몸을 뒤트는 횟수)이 약 50% 감소하고 자궁의 비정상적 수축 상태도 정상에 가깝게 회복됐다. 국내 자생 식물의 활성이 동물실험 단계에서 명확히 규명된 점이 주목된다.

 

기존 시장에서 사용되는 소염진통제(NSAIDs)는 지속적 복용 시 위장 장애와 신장 손상 등 다양한 부작용이 이어지는 것이 한계로 지적돼 왔다. 한의학연 구팀은 해국 추출물이 항염 및 항산화 작용을 동시에 갖추면서 천연물 기반 대체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허브 유래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의학연 관계자는 “임상시험을 통한 해국의 안전성과 효능 검증이 이뤄진다면 국내 바이오 천연물사업뿐 아니라 국제 시장 진출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성과는 국제 염증분야 학술지 'Mediators of Inflammation'에 지난달 12일 공식 게재됐다.

 

전문가들은 향후 임상 기반의 효과 검증과 인증 절차에서 통과 여부가 실제 상용화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가 자연유래 약물 개발의 새 흐름을 이끌지 주목하고 있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의학연구원#해국#월경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