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진실 은폐 의혹엔 독립조사”…이재명 대통령, 순직 사고 외부기관 엄정 수사 지시
해양경찰 순직 사고를 둘러싼 진상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대통령이 직접 외부 독립기관의 조사를 지시하며 정국이 격랑에 휩싸였다. 15일 해양경찰 고(故) 이재석 경사의 영흥면 꽃섬 갯벌 구조 순직을 둘러싼 해경 윗선 은폐 의혹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이 강경 대응을 천명하면서 정치권과 해경 내부가 긴장 분위기에 휩싸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을 통해 “해경이 아닌 외부의 독립적인 기관에 맡겨 엄정히 조사하라”고 공식 지시했다. 강 대변인은 “대통령은 고인의 동료들로부터 ‘윗선이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음을 언급했다”며 “유가족과 동료들의 억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고 말했다. 이는 현장 경찰과 유족의 요구를 직접 수용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또한 2인 1조로 수색 및 구조가 이뤄져야 하는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강 대변인은 “고인이 혼자 구조를 진행하게 된 경위, 초동대처와 늑장 대응 여부에 대한 보고가 있었고, 대통령은 반복적으로 미흡한 대응이 없었는지를 점검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고 이재석 경사는 11일 새벽 3시 30분께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꽃섬 갯벌에서 밀물에 고립된 70대 중국 국적 남성을 구조하는 임무를 단독 수행하다 실종됐다. 이후 오전 9시 41분경 인근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숨졌다. 해경은 사고 이후 내사에 착수했으나, 외부 은폐 의혹이 불거지면서 경찰 내외로 비판이 확산됐다.
사고 당일 고인의 동료 해양경찰 4명은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2인 1조 출동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상황에서, 담당 팀장과 간부들이 신속한 상황 공유에 소극적이었던 점도 언론에 알리지 말라는 취지의 요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해경 조직문화에 대한 신뢰성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유족의 눈물 어린 호소와 현장 경찰의 문제 제기 등을 계기로, 이번 사건에 대한 철저한 재조사와 해경 구조 대응체계 전반의 혁신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양상이다. 여야는 피해자 보호와 조직 내 투명성 제고를 두고 의견을 모으고 있으나, 해경 내부 묵살 관행과 지휘 라인 책임론 등에 대해선 정면 충돌하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부 독립기관 조사가 이뤄져야 재발방지 대책 수립에 실효성이 생긴다”는 진단도 내놨다.
연이은 경찰 관련 사고와 조직 내부 은폐 논란이 불거지면서, 정부의 강경한 진상조사 지시에 사회적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은 “유가족과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경과 정치권은 외부 조사가 본격화됨에 따라, 유사 사고 예방 및 구조 체계 정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