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세안+3 협력은 더 중요해졌다”…박윤주, 일본·중국 외교수장과 첫 조우
정치

“아세안+3 협력은 더 중요해졌다”…박윤주, 일본·중국 외교수장과 첫 조우

최동현 기자
입력

동남아 외교전에서 한·중·일 외교수장 간 첫 공식 만남이 성사됐다. 1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서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일본, 중국 외교라인과 조우하며, 지역 협력 의지와 한국 신정부의 외교 방향을 적극적으로 알렸다. 탄탄한 협력이 요구되는 글로벌 지정학적 격랑 속에서, 주요국 외교 책임자들이 동시에 머리를 맞댄 것이다.

 

박윤주 1차관은 이날 열린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재개되는 한일중 3국 협력과 ‘아세안+3’ 메커니즘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고조되는 지정학,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아세안+3의 역할은 더 중요해졌다”며 “역내 공통 과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보다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차관은 “한국 정부는 아세안, 일본, 중국과 ‘아세안 공동체 비전 2045’를 실질적인 아세안+3 협력으로 구체화하겠다”는 의지도 분명히 했다.

이날 회의장에서는 박 차관과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서로 인사를 나누는 장면도 포착됐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외교 고위 당국자가 일·중 외교수장과 함께 공식 행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박 차관은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아세안과의 전략 동반자를 넘는 연대 구축을 기대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새로운 정부에서 한국은 상호 신뢰·존중·이익에 기반한 아세안과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더욱 심화·확대할 것”이라며, “한국 민주주의에 꾸준한 신뢰와 지지를 보내준 아세안 회원국에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했다.

 

회의에서는 지난해 채택된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공동성명’을 토대로 만들어진 ‘2026~2030 행동계획’이 공식 채택됐다. 기존 2021~2025 행동계획에 ‘평화’, ‘전략대화’, ‘초국가범죄’, ‘한반도’, ‘디지털전환’, ‘광물’, ‘기후변화’, ‘사이버안보’ 등 핵심 의제가 추가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전략적 협력의 수준이 한 단계 높아진 만큼,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 행동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박 차관 모두발언에서 지난해와 달리 북한을 직접 지목하는 언급이 제외됐다는 점이다. 실무 차원의 긴장 완화와 새 정부의 관계 개선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읽힌다. 또한 최근 북한이 대남 도발을 자제하는 기류도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한편, 한국의 동남아 외교가 전략 영역과 디지털, 안보 협력을 두루 아우르며 크게 확장된 만큼, 향후 한·아세안, 한·중·일 다자외교의 연결고리가 더욱 굳건해질지 주목된다. 정부는 앞으로 아세안, 일본, 중국 간 실질 협력과 행동계획 이행을 위한 분과별 회의와 다양한 외교채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박윤주#아세안+3#한-아세안행동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