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이진숙 사퇴론 확산”…이재명 대통령, 인사 결단 임박
여성가족부 강선우, 교육부 이진숙 장관 후보자의 임명을 둘러싸고 여권과 야권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대통령실과 국회 사이에서 거취를 둘러싼 논의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인사청문회를 모두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사퇴 여론이 식지 않고 확산되는 가운데, 임명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의 선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강선우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 이후 보좌진 갑질과 거짓 해명 논란에 이어 병원 갑질 의혹까지 추가로 불거지며 사퇴 요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 역시 제자 논문 표절, 자녀 불법 조기 유학 등 도덕성 논란이 해소되지 않아 교육부 장관으로서의 자격 논쟁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여권 내부에서도 강선우 후보자를 둘러싼 분위기가 빠르게 변화했다. 당초 엄호하던 기조에서 구체적 비위 사실과 해명 논란이 더해지자 “자진 사퇴 불가피론”이 힘을 받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피해를 봤다는 분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춰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했다. 또 한 중진 의원도 “여론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임명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을 주문했다.
진보성향 야권과 시민사회도 거센 사퇴 요구를 이어갔다. 조국혁신당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는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부담을 주지 말고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고 촉구했다. 진보당 전종덕 의원은 “국가 주요 인사 선정에서 국민 정서와 너무 큰 괴리가 생겼다”며 자진 사퇴를 강조했다.
반면 대통령실은 공식적으로 “특별한 기류 변화는 없다”고 선을 긋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여론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분위기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모든 청문 절차가 종료된 후 인사권자로서 판단하겠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다만 청문회가 마무리되는 18일 이후 임명 여부 결론이 도출될 전망이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금요일 이후 대통령께 전체 상황을 종합 보고할 계획이며, 이후 최종 판단이 이뤄질 것”이라 설명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강선우 후보자가 자진 사퇴할 경우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 도입 이래 첫 현역 의원 낙마라는 전례를 남기게 된다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논란 많은 후보를 임명하기보다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선택으로 국정운영 동력을 얻는 편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대통령실과 여야는 향후 인사청문회 일정 종료 후 대통령의 최종 판단에 주목하고 있다. 정치권은 두 후보자 임명을 둘러싸고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이 정국에 어떠한 파장을 불러올지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