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쾌거”…이재명 대통령, 국민적 환영과 지역경제 기여 강조
반구천 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두고 정치권 중심에서 큰 환영의 목소리가 나왔다. 국가적 자긍심과 지역 경제, 문화자산의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가 교차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직접 축하 메시지를 전하며 “온 국민과 함께 마음 깊이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반구천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오랜 세월에 걸쳐 인간과 자연이 만들어 낸 걸작이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나 비로소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할 가치가 있는 유산으로 인정받았다”며 반구천 암각화가 지닌 인류사적 의미를 강조했다.

이어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를 결정하면서 한반도에 거주했던 선사인들이 고래와 같은 희소한 주제를 창의적으로 풀어냈다고 평가하고, 선사시대부터 약 6천년에 걸쳐 지속해온 암각화 전통의 독보적 증거임을 인정했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수천 년 전 문자가 없어도 이야기를 남기고자 했던 한반도 사람들의 열망이 반구천을 따라 깊게 새겨졌을 것”이라며 “그 표현의 열정이 오늘 우리 문화예술의 성취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또 “반구천 암각화는 얼마든지 그 가치가 확장되고 재생산될 수 있는 자랑스러운 문화 자산이자 세계적인 관광자원”이라고 평가하고, “유산의 보존·관리 수준이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하고 지역경제 기여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가 함께 지켜야 할 유산이 된 반구천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를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 같은 성과가 국가 브랜드 제고는 물론 지역사회 문화 발전 동력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세계유산 등재가 울산 지역사회 관광 산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향후 반구천 암각화의 체계적 보존과 활용, 관광자원화 방안 마련 등 유네스코 국제기준을 최대한 반영한 후속 조치에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