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 셧다운 우려에 금값 사상 최고”…미국, 안전자산 쏠림 심화
현지시각 1일, 미국(USA) 연방정부가 헬스케어 예산을 둘러싼 의회의 대립으로 셧다운에 돌입했다. 돌파구 없는 정국 교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 금값이 온스당 3,897.5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글로벌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사건 발단은 미국 의회가 예산안 합의에 실패한 데서 비롯됐다. 현지시각 1일 오전 0시 1분부로 연방정부의 일부 기능이 잠정 중단되면서, 금융시장에 긴장감이 확산됐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일 대비 0.6% 오르며 온스당 3,897.5달러에 마감했고, 금 현물 가격 역시 한때 3,895.09달러까지 치솟았다.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는 과거에도 반복된 바 있으나, 이번에는 경기 침체 위험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정부 기능 중단이 길어질 경우 공공서비스 위축과 소비 심리 악화 등 연쇄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이 또 다른 변수로 부상했다.
미국 경제 불확실성 확대와 함께 달러가 약세로 전환된 점도 금값 상승을 자극했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10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을 99%까지 반영하고 있으며, 5거래일 연속 금값 강세가 이어지는 흐름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자료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통화정책 완화 시나리오에 베팅 중이다.
글로벌 여론과 주요 외신도 미 셧다운 사태의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정부 교착이 안전자산 선호를 급격히 추진 중”이라고 진단했으며, 블룸버그는 “연준의 정책 변화와 경기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미국 의회의 예산안 협상 결과와 연준의 정책 결정이 귀추를 주목받는다. 전문가들은 “셧다운 장기화와 통화 완화가 동반된다면 안전자산 쏠림과 금융시장 변동성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사회는 미국발 경제 불확실성이 글로벌 시장에 미칠 효과에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