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사업 중단 명령에 강경 대응”…미국-덴마크, 재생에너지 정책 갈등 격화
현지시각 4일, 미국(USA) 워싱턴 D.C. 연방법원에서 덴마크(Denmark) 해상 풍력 기업 ‘외르스테드(Ørsted)’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해상 풍력발전 사업 중단 명령에 대해 공식적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해양에너지관리국이 주도한 이번 건설 중단 조치는 외르스테드의 주가 하락과 글로벌 재생에너지 투자 불확실성을 확산시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올 1월 취임 직후부터 재생에너지 지원을 대폭 축소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갈등은 미국과 유럽 등 국제 재생에너지 정책의 분열 양상을 반영한다.
이번 소송의 배경은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해상에서 추진돼온 ‘레볼루션 윈드’ 프로젝트의 갑작스러운 정지에 있다. 해당 사업은 총 65기의 풍력 터빈을 설치해 로드아일랜드, 코네티컷주 3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세계 1위 해상 풍력 기업인 외르스테드와 ‘스카이번 리뉴어블스’가 공동 추진해왔다. 외르스테드는 프로젝트가 이미 80%에 달하는 공정률을 보인다며, 행정부의 명령이 “자의적이고 변덕스럽다”고 연방법원에 주장했다.

미국 해양에너지관리국은 지난달 22일 외르스테드 측에 공식 서한을 보내 즉각적인 현장 작업 중단을 지시했다. 중단 명령의 공식적 사유는 함구되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친화석연료·반재생에너지 정책 전환과 직결됐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신규 해상 풍력 허가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12개 해상 풍력 사업에 대한 연방 지원 예산까지 전액 철회했다.
양국 기업 및 금융시장도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외르스테드는 소송 제기와 동시에 긴급 주주총회를 소집하고 유상증자 등 자금조달 논의에 착수했으나, 주가 급락과 투자 손실 우려가 급속히 번졌다. 라스무스 에르보에 외르스테드 CEO는 “미국 정부 결정이 글로벌 재생에너지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한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가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해상 등 타 프로젝트에도 유사한 인허가 취소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BBC 등 주요 외신들도 이번 소송전과 정책 급선회가 미국 내 대형 재생에너지 기업뿐 아니라 글로벌 업계 전반의 투자 심리를 냉각시킨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세계 풍력·태양광 선두 기업 다수가 최근 미국 내 프로젝트 투자 일정을 재검토하는 등 신중 모드로 전환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로 해상 풍력 프로젝트 인허가를 중단 또는 취소할 경우, 관련 업계의 글로벌 자금조달 및 대체에너지 전환 계획에 상당한 혼란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외르스테드 소송이 미 재생에너지 정책 변화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투자자와 업계는 미국 내 정책 방향을 긴장 속에 주시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재생에너지 시장과 미국의 에너지 정책 지형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