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지아 사태 관리 실패 땐 반미정서 위험”…이준석, WP 기고로 해법 촉구
정치

“조지아 사태 관리 실패 땐 반미정서 위험”…이준석, WP 기고로 해법 촉구

박진우 기자
입력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가 불거지면서, 외교 현안이 정치권 격돌로 번지고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23일 미국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을 통해 사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한미동맹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를 강하게 드러냈다.

 

이준석 대표는 "이번 사태는 동맹의 자존심을 건드렸을 뿐 아니라, 한국의 대미 투자와 미국의 투자 환경에 대한 신뢰를 흔드는 결과를 낳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조지아 구금 사태를 비롯해 한국 사회에 반미·반중 정서를 일으킨 과거 사건들을 나열하며, "지금 한국의 역동적인 젊은 세대가 이번 조지아 사태를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향후 20∼30년 한미관계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적절한 해결책 부재가 오히려 한미 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그는 "만약 이번 사태를 잘못 관리한다면 과거의 반미 정서가 되살아나고 동맹의 신뢰가 훼손될 위험이 크다"고 덧붙였다.

 

구체적 해법으로 이준석 대표는 "미국 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해외 기술 인력이 합법적으로 입국할 수 있는 전용 비자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 제도는 시혜가 아니라 동맹의 실익을 조화시키는 장치"라고 주장하며, 제도 개선이 실질적 동맹 강화로 이어진다고 짚었다.

 

이어 이 대표는 "동맹은 단순한 이해관계의 거래가 아니라 미래를 함께 만들자는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조지아 사태를 계기로 양국이 제도를 정비하고 신뢰를 공고히 한다면, 한미동맹은 안보를 넘어 글로벌 번영의 파트너십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이준석 대표의 기고를 두고 양국 간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과 외교적 파장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한미관계가 새로운 신뢰 위기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젊은 세대의 여론 변화가 장기적으로 정국에 파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정부와 여야는 조지아주 구금 사태의 대응 방안과 제도 개선 필요성을 논의할 계획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준석#조지아구금사태#한미동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