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불출마에 당권 경쟁 출렁”…국민의힘, 친한계 표심 변수로
당권 구도를 둘러싼 치열한 신경전이 국민의힘 내부에서 다시 불붙었다. 한동훈 전 대표가 8·22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친한동훈(친한)계 표심을 놓고 주자들의 힘겨루기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혁신파 단일화, 극우화 논란, 전당대회 흥행 등 다양한 쟁점이 교차하는 가운데 격돌 양상이 거세지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는 24일 페이스북을 통해 “8월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하지 않는다”며 퇴행 세력 대신 ‘희망의 개혁연대’ 구축을 강조했다. 그는 “극우의 스크럼이 아니라, 보수가 자랑스러워질 ‘보수어게인’을 실현해야 한다”고 밝혀 극우화 흐름에 대한 비판 의지를 분명히 했다. 최근 당 혁신위원회 혁신안 좌초 움직임, 그리고 극우 성향 인사인 전한길씨의 국민의힘 입당 논란이 고조되는 가운데 내린 결정이었다.

이를 계기로 친한계 표심 행방이 주목받고 있다. 친한계 인사들은 내부 논의에서 “극우끼리의 경쟁 구도가 굳어질 경우 전당대회의 의미가 퇴색한다”는 비판적 의견을 피력했다. 이에 따라 쇄신파, 이른바 찬탄파 주자들도 셈법에 변화를 모색하는 분위기다.
대표적인 찬탄파이자 혁신파로 꼽히는 조경태 의원은 당 혁신파 후보 단일화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조 의원은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 혁신안과 윤희숙 혁신위원장 혁신안을 온전히 수용할 후보가 혁신파”라며, 100% 국민경선으로 단일화 경선을 치르자고 거듭 촉구했다. 반면 안철수 의원은 혁신파 단일화에 냉담하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오찬을 마친 후 그는 “시기적으로 단일화 논의는 적절하지 않다”며 “결선투표 과정에서 혁신적 후보에게 표가 모이면서 자연스럽게 단일화 효과가 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동훈 전 대표 불출마로 친한계 구심점이 사라지면서, 이들의 향후 행보도 유동적이다. 한 친한계 의원은 “혁신 기치를 내건 후보들 간에 자정 노력과 단일화 움직임이 모아지면 그때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반탄파(탄핵반대파) 라인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장동혁 의원 등도 미묘한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가 불출마하면서 기존 대비 전당대회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졌다고 내부 목소리가 이어진다. 김문수 전 장관 측은 “당원 평가를 직접 받는 기회를 한 전 대표가 포기한 것은 아쉽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24일 기준, 국민의힘 당 대표 출마를 공식 선언한 인물은 김문수 전 장관, 조경태 의원, 장동혁 의원, 주진우 의원 등 4명이다. 여기에 안철수 의원,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양향자 전 의원이 합세할 경우 최소 7명 이상의 다자 구도가 형성될 전망이다. 아울러 ‘박근혜 키즈’로 불리는 손수조 리더스클럽 대표가 청년최고위원 후보로, 손범규 인천 남동갑 당협위원장이 최고위원 출마 의사를 밝히면서 최고위원 경쟁도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동훈 전 대표 불출마 이후 국민의힘 친한계와 쇄신 진영이 어떤 연대로 이동하느냐가 전대 향방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당내 혁신파 단일화 문제, 반탄파-친한계 간 미묘한 긴장과 세 불리기 경쟁도 주목된다. 정가 안팎에서는 전당대회 흥행 가능성과 리더십 구도 변화, 혁신전략의 설득력이 이어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민의힘은 다음 달 치러질 전당대회를 앞두고 경쟁 구도 재정리와 당내 혁신 방안 논의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